정부가 유럽연합(EU)의 선박재보험 금지에 따른 ‘이란산 원유 수입’ 중단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국내 2900여개 이란 수출 중소기업은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으며, 이란 또한 ‘전면 무역 중단’을 내세우며 우리 정부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29일 이란 관영통신 IRNA에 따르면 로스탐 카세미 이란 석유장관은 28일(현지시간) 한국이 이란산 원유의 수입을 중단할 경우 한국과의 관계를 재검토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카세미 장관은 “한국이 이란산 원유 도입을 완전히 중단하면 한국과의 관계를 재고하겠다.”고 밝혔다. 또 최근 이란은 ‘자국 유조선’을 활용, 원유 배달 서비스를 제안했다. 이는 원유 재고량이 쌓여 가는 이란이 인도 등에 제안한 방법으로 수입국의 선박보험 문제를 해결해 원유 수출을 이어 간다는 의도다. 인도는 이란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외교통상부와 지식경제부 등 우리 정부도 “일부 언론에서 ‘한국 정부가 7월 1일부로 이란산 원유 수입을 중단한다’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이란산 원유 수입을 지속하기 위한 방법을 계속 검토하고 있다.”고 한 발 물러섰다.
정부가 이란산 원유 수입을 놓고 고민하는 이유는 EU의 선박재보험 금지에도 일본과 인도 등 에너지 수급이 어려운 국가들이 원유 수입을 이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일본처럼 정부가 보증을 서는 방안과 인도처럼 이란 선박을 활용하는 방안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고 말했다.
한준규·정서린기자 hihi@seoul.co.kr
29일 이란 관영통신 IRNA에 따르면 로스탐 카세미 이란 석유장관은 28일(현지시간) 한국이 이란산 원유의 수입을 중단할 경우 한국과의 관계를 재검토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카세미 장관은 “한국이 이란산 원유 도입을 완전히 중단하면 한국과의 관계를 재고하겠다.”고 밝혔다. 또 최근 이란은 ‘자국 유조선’을 활용, 원유 배달 서비스를 제안했다. 이는 원유 재고량이 쌓여 가는 이란이 인도 등에 제안한 방법으로 수입국의 선박보험 문제를 해결해 원유 수출을 이어 간다는 의도다. 인도는 이란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외교통상부와 지식경제부 등 우리 정부도 “일부 언론에서 ‘한국 정부가 7월 1일부로 이란산 원유 수입을 중단한다’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이란산 원유 수입을 지속하기 위한 방법을 계속 검토하고 있다.”고 한 발 물러섰다.
정부가 이란산 원유 수입을 놓고 고민하는 이유는 EU의 선박재보험 금지에도 일본과 인도 등 에너지 수급이 어려운 국가들이 원유 수입을 이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일본처럼 정부가 보증을 서는 방안과 인도처럼 이란 선박을 활용하는 방안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고 말했다.
한준규·정서린기자 hihi@seoul.co.kr
2012-06-3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