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만 두산회장 “단순 영토확장 M&A 않겠다”

박용만 두산회장 “단순 영토확장 M&A 않겠다”

입력 2012-04-06 00:00
업데이트 2012-04-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취임 첫 기자간담회

“평가와 도태를 기준으로 구성원들을 바라보는 기존 성과주의 대신 육성과 계발을 중심으로 조직에 대한 시각을 바꾼 것이 따뜻한 성과주의입니다.”

이미지 확대
박용만 두산회장
박용만 두산회장
친형인 전임 박용현 회장에 이어 두산그룹을 이끌게 된 박용만(57) 신임 회장이 사람 중심이라는 기업문화 정착을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단순히 영토확장을 위한 인수·합병(M&A)은 하지 않겠다는 의사도 내비쳤다.

박 회장은 5일 서울 중구 소공로 플라자호텔에서 가진 취임 첫 기자간담회에서 “‘사람이 미래다’라는 생각으로 인재육성 전략을 강하게 추진하고, 인사제도를 경쟁이라는 냉혹함보다는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줄 수 있는 시각의 변화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M&A와 관련해서는 “단순한 사업의 영토확장 차원이 아니라 그룹 경쟁력을 단시간 내에 제고할 수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면서 “현재는 이 같은 M&A 후보가 눈에 띄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박 회장은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42건의 M&A를 직접 주도, 유통 중심에서 중공업 그룹으로의 체질 변화를 이끌어왔다.

주요 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의 미국 건설기계 자회사 밥캣(두산인프라코어인터내셔널)의 실적도 호전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박 회장은 “밥캣이 7분기째 흑자를 기록하고, 흑자 폭도 확대되고 있다.”면서 “올해 밥캣에서만 2000억원의 영업이익이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룹의 신성장동력과 관련해서는 “친환경은 ▲기존 시설 에너지 효율 향상 ▲대체에너지 ▲오염배출 감소 등 세가지로 나뉜다.”면서 “이 중 에너지 효율 향상 부문의 시장이 80% 이상이기 때문에 이 비율대로 투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체에너지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한 만큼, 확실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분야를 우선시하겠다는 뜻이다.

박 회장은 “사업가, 기업가로서의 원칙을 지키면서 기업을 일궜다는 게 116년의 두산 역사의 가장 큰 힘”이라면서 “100년이 넘은 기업으로 기업 사회의 롤 모델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2-04-06 2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