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땅에 몰래 꽃·채소를 심자

남의 땅에 몰래 꽃·채소를 심자

입력 2012-02-11 00:00
수정 2012-02-1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게릴라 가드닝】 리처드 레이놀즈 지음/들녘 펴냄

게릴라는 ‘작은 전쟁’을 뜻하는 스페인 말이다. 1808년 나폴레옹 보나파트르가 스페인을 침공할 때 벌어진 6년간의 군사적 저항을 표현하면서 처음 등장했다. 소규모 비정규전으로 장기화한 전쟁을 일으키는 게릴라에 왜 평화로운 식물을 가꾸는 가드닝이 붙어 있는 것일까?

게릴라 가드닝(여상훈 옮김, 들녘 펴냄)의 저자 리처드 레이놀즈는 2004년 10월 어느 화요일 새벽 2시에 자신이 사는 10층 아파트의 쓰레기가 가득한 버려진 화단에 잠입(?)해 유기질 비료를 넣고서 빨간 시클라멘과 라벤더, 입이 뾰족뾰족한 캐비지트리 세 그루를 심었다. 이웃의 눈을 피해 몰래몰래 했기 때문에 주민들은 구청이 착한 일을 했다고 생각했다. 그는 식물이 무럭무럭 자라나는 모습에 엄청난 성취감을 느끼고 친구들과 그 기쁨을 나누기 위해 사진을 찍은 뒤 블로그에 올렸다. 그 후에 인터넷 도메인(www.guerillagardening.org)을 확보했다. 그리고 검색엔진을 돌려봤다. 게릴라 가드닝에 걸리는 웹사이트가 많았다. 그는 자신이 거대한 녹색 흐름의 일부라는 사실에 깜짝 놀았다.

게릴라 가드닝은 대체 어떻게 하는 것인가. 불법이나 무법적으로, 혹은 합법적이지 않게 남의 땅이나 공유지 등에 꽃과 나무, 채소나 식량 등을 심고 가꾸는 활동을 말한다. 활동의 결과는 도시를 아름답게 하고, 지구 인구의 2분의1을 차지하는 도시 거주자들을 즐겁게 한다. 또한, 게릴라 가드닝 활동에 동참할 경우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공동체의 일원이란 소속감을 가질 수 있다. 도시에 살면서 경쟁만 할 뿐 지난날 공동체가 가졌던 친밀함 등을 잃어버린 사람들에게는 최고의 활동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게릴라 가드닝은 안전할까? 꼭 그렇지 않다. 공권력이나 사유지 소유자, 이해관계자들로부터 물리적 공격을 받을 수도 있다. 1970년대 멕시코에서는 땅 없는 농부들이 게릴라 가드닝을 하고, 땅을 더 확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중에 농부 100여명이 죽기도 했다.

사람들은 왜 게릴라 가드닝을 할 수밖에 없을까? 저자는 ‘땅이 모자라거나, 내버려진 상태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땅이 모자라면 버려둘 리가 없고, 땅이 내버려진다면 땅이 모자라지 않다는 뜻인데, 이런 모순된 관계가 존재한다. 유한한 땅을 독점한 땅 부자는 불필요한 자본의 투여 없이 부동산 가격이 오르길 바라기 때문에 내버려둔다. 그 땅은 머잖아 쓰레기가 가득한 불모의 땅이 된다. 저자는 ‘쇠스랑과 꽃으로 쓰레기와 싸우자’고 슬로건을 내걸 수밖에 없게 된다. 또 이 토지를 돈이 없어 땅이 모자란 사람들이 점령해 가꾸는 것이다. 브라질의 ‘토지 없는 농촌 노동자 운동’ 단체는 땅을 평화적으로 점유해 곡식을 재배하고 공동체를 유지해낸 끝에 1985년이래 35만 이상의 가구가 점유지에 대한 합법적인 소유자가 될 수 있도록 도왔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토지 없는 사람들 운동’도 불법적인 점유자 2800만명의 빈곤층에 농업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이쯤 되면 게릴라 가드닝은 해볼 만한 일이다.

저자는 도시계획의 일부로서 진행되는 기계화된 공원이나 녹지의 조성을 거부한다. 그것은 공동체의 삶에 도움이 안 되기 때문이다. 앞으로 주변의 공터를 바라볼 때면 당신은 어떤 꽃이나 채소를 그 터에 심고 싶은지 마음의 욕망을 체크해보길 바란다. 1만 3000원.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2-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