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가 바야흐로 1000조원 시대를 맞이했다. 국내총생산(GDP)은 2008년에 이미 1000조원을 돌파했고, 주식 시가총액도 지난해 1142조원을 기록했다. 올해 무역은 1조 달러를 넘을 전망이며, 현재 환율로 환산하면 1200조원을 초과한다. 이는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를 다 사고도 남는다. 그만큼 우리 경제의 덩치가 커졌다는 의미다. 그런데 그 큰 덩치를 키워온 것이 바로 무역이다. 올해 우리나라 무역은 GDP와 맞먹는 규모가 되었다.
무역수지 흑자도 30조원을 넘고 있다. 해외에 물건을 팔아 남는 장사를 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이것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무역이 주는 의미를 잘 되새길 필요가 있다. 우선 무역을 하면 근로자의 임금이 올라간다. 수출기업은 내수기업보다 1인당 부가가치가 약 11% 높아, 6% 더 높은 임금을 지불한다. 다음으로, 수출과 수입 과정에서 비즈니스 기회가 확대되고 파생되는 일자리도 많아진다. 또한, 외국 시장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도 계속 습득하게 된다. 이렇듯 글로벌 시장으로 나가는 무역은 계속해서 많은 이익을 가져다주고 있다. 내수시장에 더 의존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인구 5000만명에 불과한 우리 내수시장은 본질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우리가 자유무역협정(FTA) 전략을 구사하는 것도, 글로벌 시장을 향한 과감한 개방과 혁신만이 새로운 성장의 모멘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티브 잡스가 이야기한 것처럼 새로운 꿈은 새로운 세상을 만든다. 젊은이가 꿈을 향해 도전하듯이, 신(新)무역시대를 열려면 새롭고 과감한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단품을 많이 팔아 이익을 남기는 방식을 뒤로하고 지금부터는 제품과 서비스·문화가 융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거래하는 시대를 열어야 한다. 원전 플랜트를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 수출한 것이 아주 좋은 사례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원전 수출은 운영 노하우, 연료 공급, 폐기물 처리 등 수요자가 원하는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인력·건설 등을 함께 결합함으로써 가능하였다. 플랜트, 도시시스템, 관광·문화 등은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신무역의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둘째,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는 ‘made in Korea’ 기업군이 많이 형성되어야 한다. 한류 콘셉트로 재창조 가능한 일상생활의 소비재, 문화 서비스, 벤처기업도 이제는 글로벌 시장에 나가야만 한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아직 준비가 덜된 것 같다.
FTA가 확대될수록 글로벌 시장과 내수시장의 경계가 없어진다. 무역의 기초를 탄탄히 하면서 동시에 글로벌한 지식과 전략을 새롭게 세워야 한다. 셋째, 기존에 추구했던 고도 기술화 전략도 정교하게 다듬어야 한다. 브릭스(BRICs) 시장뿐만 아니라 선진국 시장도 고기능이면서 저가격을 실현해야만 한다. 제품 개발도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의 자원을 포용하는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오늘 1200조원 무역 달성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젊은이들의 꿈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한국 경제가 두 배, 세 배 더 성장하려면 이 시대 젊은이들이 신무역시대를 열겠다는 꿈이 있어야 한다. 모두가 젊은 사람들의 도전에 손뼉치고 지원해 주자. 넘치는 상상력과 도전이 한국 경제의 신무역을 이끌 것으로 확신한다.
김경수 지식경제부 무역위원회 상임위원
스티브 잡스가 이야기한 것처럼 새로운 꿈은 새로운 세상을 만든다. 젊은이가 꿈을 향해 도전하듯이, 신(新)무역시대를 열려면 새롭고 과감한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단품을 많이 팔아 이익을 남기는 방식을 뒤로하고 지금부터는 제품과 서비스·문화가 융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거래하는 시대를 열어야 한다. 원전 플랜트를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 수출한 것이 아주 좋은 사례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원전 수출은 운영 노하우, 연료 공급, 폐기물 처리 등 수요자가 원하는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인력·건설 등을 함께 결합함으로써 가능하였다. 플랜트, 도시시스템, 관광·문화 등은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신무역의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둘째,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는 ‘made in Korea’ 기업군이 많이 형성되어야 한다. 한류 콘셉트로 재창조 가능한 일상생활의 소비재, 문화 서비스, 벤처기업도 이제는 글로벌 시장에 나가야만 한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아직 준비가 덜된 것 같다.
FTA가 확대될수록 글로벌 시장과 내수시장의 경계가 없어진다. 무역의 기초를 탄탄히 하면서 동시에 글로벌한 지식과 전략을 새롭게 세워야 한다. 셋째, 기존에 추구했던 고도 기술화 전략도 정교하게 다듬어야 한다. 브릭스(BRICs) 시장뿐만 아니라 선진국 시장도 고기능이면서 저가격을 실현해야만 한다. 제품 개발도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의 자원을 포용하는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오늘 1200조원 무역 달성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젊은이들의 꿈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한국 경제가 두 배, 세 배 더 성장하려면 이 시대 젊은이들이 신무역시대를 열겠다는 꿈이 있어야 한다. 모두가 젊은 사람들의 도전에 손뼉치고 지원해 주자. 넘치는 상상력과 도전이 한국 경제의 신무역을 이끌 것으로 확신한다.
2011-12-08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