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 vs SNS 대결?
‘종합편성채널(종편)과 소셜미디어의 대결?’2012년 총선의 주요 관전 포인트다. 정치권은 전혀 다른 형태와 성질을 가진 두 미디어가 보수와 진보의 승부수가 될 것인지 주목하고 있다. 지난 10·26 재·보선에서 드러났듯 진보적 젊은 유권자가 주도하는 소셜미디어와 보수 매체 중심의 종편 방송이 팽팽하게 대립할 것이라는 분석은 여전하다.
김윤철 경희대 교수는 “종편의 출발이 늦었지만 각종 인터넷기업, 해외 방송과의 제휴에다 보수 신문의 콘텐츠를 쏟아내면 소셜미디어와 힘의 균형을 이룰 것”이라면서 “특히 20~40대의 소셜미디어, 50대 이상의 종편 선호가 심화되면 세대 대결 양상도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같은 관측에 여야도 기본적으로 동의하는 편이다. 한나라당은 종편 방송이 정국 주도권을 잡는 데 청신호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상대적으로 불리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분야에서는 네티즌들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당 디지털정당위원회 김성훈 위원장은 “내년 총선에 대비하기 위해 20~30대 디지털위원들을 모집하고, 한나라당이 취약한 온라인 분야 의견 수렴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네티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보수 콘텐츠 확보도 관건으로 여기고 있다.
민주당은 보수 성향의 종편에 대비해 소셜미디어를 적극 끌어들이려 한다. 출마자들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문용식 당 유비쿼터스위원장은 “인터넷 방송인 ‘민주TV’를 만들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연동하고, 선거에 젊은 층의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 모바일 투표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종편과 소셜미디어의 대결 구도가 섣부른 관측이라는 시각도 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TV 방송이 자리 잡으려면 짧아도 3~4년 걸린다. 4월 총선을 앞두고 여론을 주도할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내다봤다. 서울대 윤석민 교수는 “개국 시점이라 이념적 편향성을 최대한 자제할 것이므로 내년까진 종편의 정치적 영향력이 SNS만큼 방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히려 종편과 소셜미디어의 상호 보완 관계도 형성될 수 있다. 국회 입법조사처 문화방송통신팀의 조희정 박사는 “소셜미디어가 정치공간으로 세력화된다면 종편은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소셜미디어의) 콘텐츠를 인용할 수밖에 없다.”면서 “소셜미디어도 종편의 방송 내용을 인용하면서 서로 유화적인 관계를 지향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구혜영·이재연기자 koohy@seoul.co.kr
2011-12-0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