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뛰는 혈압’ 뇌졸중 부른다

‘널뛰는 혈압’ 뇌졸중 부른다

입력 2011-10-31 00:00
업데이트 2011-10-3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정년 퇴직한 A씨는 최근 심한 두통과 어지럼증에 시달렸다. 증상이 점점 심해지더니 한쪽 얼굴과 팔다리에 힘이 빠지면서 결국 의식을 잃고 말았다. 원인은 뇌졸중. 고혈압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가 뇌혈관이 막혀 혈관 파열로 이어진 것. 다행히 생명은 구했으나 정상 상태로 돌아가기는 어렵게 되고 말았다.
이미지 확대


●치명적인 뇌졸중, 고혈압이 주범

뇌졸중은 단일질환으로는 국내 사망원인 1위 질환이다. 이런 뇌졸중의 주요 위험인자는 고혈압·고지혈증·당뇨병·심혈관질환·흡연·비만·가족력 등이 꼽힌다. 이 중에서도 고혈압이 가장 심각한 위험인자. 고혈압은 뇌동맥을 경화시켜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이나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을 유발한다. 실제로 뇌경색 환자의 50% 이상, 뇌출혈 환자의 70∼88%가 고혈압을 앓고 있다. 고혈압이 있으면 뇌졸중 발생 위험이 정상인의 2∼4배까지 치솟으며 반대로 수축기 혈압을 10㎜Hg, 확장기 혈압을 5㎜Hg씩 낮출 때마다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위험은 40%씩 감소한다. 혈압을 정상치인 120/80㎜Hg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이 뇌졸중 예방의 첫 걸음임을 말해 주는 대목이다.

●혈압변동폭에 주목해야

뇌졸중 위험을 줄이려면 혈압과 함께 ‘혈압변동성’을 줄여야 한다. 혈압변동성이란 일상적으로 혈압이 변하는 폭을 말한다. 계절적인 변수나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동맥 혈압은 하루 중 최대 50∼60㎜Hg 정도 오르내리며, 주·야간에도 15∼20㎜Hg 정도 차이가 난다. 이런 변동성은 하루 중 아침에 특히 크다. 의료계에서는 이런 혈압변동성을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의 발생 지표로 간주한다. 나정호 인하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수축기 혈압과 혈압변동성은 뇌졸중의 중요한 지표”라며 “뇌졸중을 예방하려면 수축기 혈압을 목표까지 낮추는 것이 중요하지만 수축기 혈압이 아주 높지 않더라도 혈압변동성이 크면 역시 뇌졸중 위험이 급증하기 때문에 고혈압 약을 복용할 때 이런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지혈증도 뇌졸중 위험요인

총콜레스테롤이 240㎎/㎗를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을 넘으면 고지혈증으로 진단한다. 고지혈증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 대부분 심각하게 보지 않으나 전체 고혈압 환자의 49.7%는 고지혈증을 함께 갖고 있으며,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20%가 고지혈증을 앓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사람은 동맥경화증 발생 위험이 높고, 이는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특히 총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을 경계해야 한다. 총콜레스테롤이 40㎎/㎗ 증가하면 뇌졸중 위험도는 25%가량 증가한다.

●뇌졸중, 철저한 복약이 중요

뇌졸중을 예방하려면 고혈압·고지혈증 등 뇌졸중 위험인자를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특히 뇌졸중을 경험한 환자라면 혈압·콜레스테롤을 더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 문제는 대다수 뇌졸중 환자들이 보통 2∼3가지의 위험인자를 가진 탓에 많은 처방약을 정확하게 복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 이주헌 강동성심병원 신경과 교수는 “뇌졸중 환자들은 항혈소판제 등 보통 3∼4종의 약을 복용하는데 이렇게 먹을 약이 많으면 정확하게 복용하지 않게 되고, 이 때문에 뇌졸중이 재발해 심각한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면서 “이런 문제 때문에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함께 앓는 뇌졸중 환자들을 위해 ‘카듀엣’ 같은 치료복합제를 처방해 치료효과와 함께 복약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실제로 최초의 고혈압·고지혈증 치료복합제로 개발된 카듀엣의 경우 고혈압 치료제만 복용할 때보다 뇌졸중 발생 위험을 31%나 추가로 감소시키며, 협심증·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 위험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10-31 2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