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진 도봉구청장 “민주화 운동 얼 살려야 ‘씨알 기념관’ 건립 추진”

이동진 도봉구청장 “민주화 운동 얼 살려야 ‘씨알 기념관’ 건립 추진”

입력 2011-10-13 00:00
수정 2011-10-13 01: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함석헌 선생 마지막 거처 찾아

도봉구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한 지사나 1970~1980년대 민주화운동가들의 흔적들을 되살리는 방안으로 ‘씨알의 소리’ 발행인이자 1960~70년대 민권운동가인 함석헌(1901~1989) 선생이 별세했던 집을 기념관으로 만드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동진(왼쪽) 도봉구청장이 지난달 15일 쌍문동 함석헌 선생의 아들 집을 찾아가 며느리 양영호씨와 기념관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작은 사진은 함석헌의 시 ‘나는 빈 들에 외치는 소리’ 일부를 새긴 묘비석.
이동진(왼쪽) 도봉구청장이 지난달 15일 쌍문동 함석헌 선생의 아들 집을 찾아가 며느리 양영호씨와 기념관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작은 사진은 함석헌의 시 ‘나는 빈 들에 외치는 소리’ 일부를 새긴 묘비석.
●“민주투사 집터, 산업화 과정에 없어져”

이동진 도봉구청장은 12일 “일제 때 독립·민주화운동을 하셨던 분들의 도봉구 내 집터들이 산업화과정에서 다 사라졌다. 보존한다는 생각을 미처 못한 채 헐어버리기도 하고, 돈이 필요해 팔아버리기도 했고, 무감각하게 부숴버리고 아파트를 올려 흔적을 찾을 길이 없어서 안타깝다.”며 “지역에 거의 유일하게 남은, 함석헌 선생이 말년에 살았던 아들 집을 기념관으로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소망이 있다.”고 말했다.

이 구청장은 “용산구에 기념사업회가 있지만 도봉구민들도 선생의 삶과 철학을 기억하고 기릴 수 있으면 좋겠다.”면서 “가족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방안을 그들과 함께 장기적 관점에서 논의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선생이 오래 살았던 용산구 원효로 집은 기념사업회 발족을 즈음해 기증했다. 이후 선생은 마포에서 온실을 가꾸며 살다가 말년이던 1983년 도봉구 쌍문동 81-78 아들 집으로 건너갔다. 며느리 양영호(74)씨가 정의여고에서 교편을 잡고 있어 사들인 집이다.

●거주 중인 며느리 양영호씨 “건립 희망”

이곳에 선생이 마포에서 살 때 보살피던 화초들을 모두 옮겨 왔다. 현관 옆에는 2006년 10월 독립운동가로서 국립묘지에 안장되기 전 썼던 산소의 묘비도 모셨다. 묘비엔 함석헌의 시 ‘나는 빈 들에 외치는 소리’의 일부가 새겨져 있다.

이 구청장의 방문으로 ‘기념관’에 대한 뜻을 알게 된 며느리 양씨는 “기념사업회가 원효로의 옛집을 팔아 더 큰 건물을 사는 통에 그 집이 흔적조차 사라져 아쉽다.”면서 “초라하고 조그마한 12평짜리지만 남아 있었더라면….” 하고 말꼬리를 흐렸다.

양씨는 “불어닥친 개발 바람에 후손들이 선조의 가치를 지키지 못했다.”며 씁쓸하게 웃었다.

국문학자 최남선(1890~1957) 선생이 살았던 집을 보존하자는 여론도 일었지만 그 집은 후손들이 헐어버렸다.

함석헌과 원효로에서 이웃으로 지내던 박목월(1916~1978)의 집도 당시 용산구에서 보존계획을 잡았지만,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밀려났다가 결국 후손들이 팔아넘기면서 자취를 잃고 말았다.

●區 “자료수집 중… 장기적 관점서 접근”

이 구청장은 “함석헌 선생이 원래 살던 집은 아니지만 마지막 주소지이자 가족들이 선생을 임종한 곳이기 때문에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 구청장이나 양씨 모두 기념사업회가 있고, 현재 쌍문동 집에 후손들이 살고 있어 기념관을 급속도로 만들 수는 없다는 점을 안다. 양씨는 “외국에서는 많은 게 기록으로 남아 부럽다. 기념관 건립을 가족들이 소망하지만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도봉구는 함석헌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가족들과 기념관을 만든다는 최소한의 원칙에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글 사진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1-10-13 1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