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주년을 맞은 서울신문의 창간 어젠다는 세대입니다. 7월 18일 자 창간 특집호의 별쇄본을 펼쳐보면 또렷합니다. 33쪽부터 41쪽까지가 세대 얘기입니다.
베이비 부머가 이전 세대와 다르고 그들의 자녀인 에코 부머가 또 다르다는 얘기입니다. 베이비 부머의 ‘허리’인 58년 개띠를 취재하면서 주목했던 대목이기도 합니다.
베이비 부머를 바라보는 이견은 크게 두 갈래였습니다. 전체 토지의 42%가량, 건물 부동산의 58%, 주식의 20%를 소유하고 있어 이전 세대보다 가진 게 많다는 얘기입니다. 우리 기업의 42%가 55세를 정년으로 하고 있어 58년 개띠의 퇴직이 2013년에 시작되더라도 사회에 별다른 부담을 주지 않을 것이란 전망입니다.
그런데 이른바 ‘하우스 푸어’로 불리는 것도 이들입니다. 시쳇말로 ‘두 쪽’밖에 갖고 있지 않다는 얘기인데 두 쪽이란 자기 명의의 주택과 국민연금입니다. 자택이래야 결혼하는 자녀에게 전세금이라도 물려줄 요량이면 변방으로 줄여 가야 할 형편입니다. 국민연금도 퇴직해 60세가 될 때까지 부어야만 쥐꼬리만큼 쥘 수 있다는 한탄이 따릅니다.
기자가 만나본 58년 개띠들은 부모 봉양과 자녀 부양의 틈바구니에서 어쩔 줄 몰라하고 있었습니다. 머리로는 ‘너희들은 네 힘으로 살아라.’고 외치는데 가슴은 ‘그래도 도와줘야 하지 않나.’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렇게 하면 자녀들이 돌봐주지 않겠나 은근히 기대하는 듯했습니다.
10년 전만 해도 그 또래끼리 ‘애들 덕 볼 생각하면 반푼이’ 취급을 했는데 요즘은 달라졌다고 합니다. 그만큼 청년 실업에 허덕이는 에코 부머들의 어려움을 외면하기 어렵다는 반증이겠지요.
그런데 정부와 사회가 알아서 이들 베이비 부머의 애환을 덜어줄 여력은 없어 보입니다. 이들의 정년 연장 요구와 청년들의 일자리 요구가 겹치는 5년, 길게는 10년 안에 노동시장의 불균형이 극복되기 어렵다는 데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합니다. 이삼식 보건사회연구원 저출산고령화실장은 “과도기다. 10년쯤 뒤에는 이런 문제가 해소되고 오히려 노동시장에서의 인력 부족이 심각해질 것이다. 이 과도기를 슬기롭게 넘겨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두 번째는 정부나 사회가 이들의 손을 뿌리칠 때 이에 반발해 결집할 수 있지 않으냐는 전망이자 기대입니다. 세대 간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첫 세대란 인식이 얼마간 사회에 퍼져 있는 느낌입니다. 많은 변화를 선도해온 그네들이 다음 세대의 제2 삶에 새 길을 제시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입니다. 이전 세대보다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이들이 다른 세대와 사회의 외면을 수굿이 받아들이지 않고 그 벽을 뛰어넘기 위해 세대끼리 전쟁에 나설지 모른다는 것입니다.
반면 이들이 굉장히 실리적인 판단을 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는 이들도 있습니다. 이전 세대보다 ‘가방끈’도 길고 이념이나 지역색에 얽매이지 않기 때문에 자녀 세대와의 충돌을 피하면서 실리를 꾀하는 다양한 이합집산을 모색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두 이슈의 어느 쪽이 현실과 미래를 정확히 바라보고 있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명확한 통계가 있는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베이비 부머들의 신노년을 안착시키는 방향으로 정부와 사회가 많은 고민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미 일부에선 이런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머리를 맞대기 시작했습니다. 가까운 미래에 판이나 틀이 완전히 바뀔 만한 상황은 아니니 아직은 여유가 있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총선과 대선을 함께 치르는 내년에 특정 세대의 응집, 세대끼리의 합종연횡이 검토되고 모색되지 않을까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권력 구조가 지역색이나 이념·정파·경제권력의 향배에 터 잡았다면, 이제는 세대끼리 경쟁하고 연합하는 틀로 옮겨가지 않겠는가 하는 것입니다. 우린 지금, 미미하지만 나중에 창대할 시작을 지켜보고 있는지 모릅니다.
bsnim@seoul.co.kr
임병선 체육부장
베이비 부머를 바라보는 이견은 크게 두 갈래였습니다. 전체 토지의 42%가량, 건물 부동산의 58%, 주식의 20%를 소유하고 있어 이전 세대보다 가진 게 많다는 얘기입니다. 우리 기업의 42%가 55세를 정년으로 하고 있어 58년 개띠의 퇴직이 2013년에 시작되더라도 사회에 별다른 부담을 주지 않을 것이란 전망입니다.
그런데 이른바 ‘하우스 푸어’로 불리는 것도 이들입니다. 시쳇말로 ‘두 쪽’밖에 갖고 있지 않다는 얘기인데 두 쪽이란 자기 명의의 주택과 국민연금입니다. 자택이래야 결혼하는 자녀에게 전세금이라도 물려줄 요량이면 변방으로 줄여 가야 할 형편입니다. 국민연금도 퇴직해 60세가 될 때까지 부어야만 쥐꼬리만큼 쥘 수 있다는 한탄이 따릅니다.
기자가 만나본 58년 개띠들은 부모 봉양과 자녀 부양의 틈바구니에서 어쩔 줄 몰라하고 있었습니다. 머리로는 ‘너희들은 네 힘으로 살아라.’고 외치는데 가슴은 ‘그래도 도와줘야 하지 않나.’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렇게 하면 자녀들이 돌봐주지 않겠나 은근히 기대하는 듯했습니다.
10년 전만 해도 그 또래끼리 ‘애들 덕 볼 생각하면 반푼이’ 취급을 했는데 요즘은 달라졌다고 합니다. 그만큼 청년 실업에 허덕이는 에코 부머들의 어려움을 외면하기 어렵다는 반증이겠지요.
그런데 정부와 사회가 알아서 이들 베이비 부머의 애환을 덜어줄 여력은 없어 보입니다. 이들의 정년 연장 요구와 청년들의 일자리 요구가 겹치는 5년, 길게는 10년 안에 노동시장의 불균형이 극복되기 어렵다는 데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합니다. 이삼식 보건사회연구원 저출산고령화실장은 “과도기다. 10년쯤 뒤에는 이런 문제가 해소되고 오히려 노동시장에서의 인력 부족이 심각해질 것이다. 이 과도기를 슬기롭게 넘겨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두 번째는 정부나 사회가 이들의 손을 뿌리칠 때 이에 반발해 결집할 수 있지 않으냐는 전망이자 기대입니다. 세대 간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첫 세대란 인식이 얼마간 사회에 퍼져 있는 느낌입니다. 많은 변화를 선도해온 그네들이 다음 세대의 제2 삶에 새 길을 제시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입니다. 이전 세대보다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이들이 다른 세대와 사회의 외면을 수굿이 받아들이지 않고 그 벽을 뛰어넘기 위해 세대끼리 전쟁에 나설지 모른다는 것입니다.
반면 이들이 굉장히 실리적인 판단을 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는 이들도 있습니다. 이전 세대보다 ‘가방끈’도 길고 이념이나 지역색에 얽매이지 않기 때문에 자녀 세대와의 충돌을 피하면서 실리를 꾀하는 다양한 이합집산을 모색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두 이슈의 어느 쪽이 현실과 미래를 정확히 바라보고 있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명확한 통계가 있는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베이비 부머들의 신노년을 안착시키는 방향으로 정부와 사회가 많은 고민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미 일부에선 이런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머리를 맞대기 시작했습니다. 가까운 미래에 판이나 틀이 완전히 바뀔 만한 상황은 아니니 아직은 여유가 있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총선과 대선을 함께 치르는 내년에 특정 세대의 응집, 세대끼리의 합종연횡이 검토되고 모색되지 않을까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권력 구조가 지역색이나 이념·정파·경제권력의 향배에 터 잡았다면, 이제는 세대끼리 경쟁하고 연합하는 틀로 옮겨가지 않겠는가 하는 것입니다. 우린 지금, 미미하지만 나중에 창대할 시작을 지켜보고 있는지 모릅니다.
bsnim@seoul.co.kr
2011-07-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