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의 시대, 스마트한 잡종이 돼라”
“레오나르도 다빈치, 빈센트 반 고흐, 백남준, 앤디 워홀 등 미술사를 장식한 거장들의 대부분이 융·복합적 사고를 가진 인재들이었습니다. 지적 호기심과 실험정신이 강하고 새로운 지식과 경험에 개방적인 사람들이었지요. 그들은 남과 다른 생각으로 기존의 틀을 깨는 위대한 예술을 창조할 수 있었습니다.”예술계의 거장들에게서 21세기가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상을 발견했다는 이명옥 사비나미술관 관장.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지금까지 수많은 종류의 자기 계발서가 나오긴 했지만 ‘융합’이 화두인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을 예술과 접목시킨 것부터 참신하다. ‘팜므 파탈’ ‘명화 속 신기한 수학 이야기’ ‘명화 속 흥미로운 과학 이야기’ ‘명화 경제토크’ 등 전작에서 보듯이 그는 인문학, 수학, 과학, 경제 등 다양한 분야를 예술과 접목시키는 새로운 시도로 ‘예술계의 콘텐츠 킬러’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역시 그다운 발상이다.
“이번 책은 지금까지 시도했던 다양한 분야들을 하나로 묶고 싶다는 생각에서 출발했습니다. 마침 사회 각 분야에서 ‘융합’이라는 단어가 화두로 등장했고, 거장들의 대부분이 융합적 인재들이라는 점에서 방향은 잘 잡은 것 같았지요. 하지만 그 많은 융·복합적 인재들을 어떻게 분류해 소개할지가 최대의 고민거리였습니다.” 그는 고민 끝에 융합형 인재상의 유형을 8가지로 나눴다. 미술 애호가는 물론 미술과 친근하지 않은 사람들까지도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내 것과 네 것을 섞는 하이브리드형, 기술과 예술을 융합한 얼리어댑터형, 일상과 창조를 하나로 만든 발명가형, 경험과 열정을 바탕으로 한 체험형, 다양한 재능과 노력을 자랑한 멀티플레이어형, 몰입을 통해 창조적 작업을 완성시킨 연구자형, 감각과 감각을 넘나드는 크로스 공감각형, 너와 나를 통한 협업형이 그것이다. 유형별로 예술가들이 융합적 사고를 하게 된 배경, 최초의 발상을 작품에 어떻게 반영했고 후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독자들은 일상에서 이들을 통해 어떻게 융합형 인간이 될 수 있는지를 제시했다.
“통일성, 획일성, 절대가치, 순수성을 중시하던 시대는 갔습니다. 융합, 조합, 결합, 다양성, 협업, 소통을 중시하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도 자연히 바뀌었죠. 21세기에는 여러 생각들을 혼합하고 다른 감성을 교환하고 이질적인 요소를 혼합하는 ‘스마트한 잡종’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이 관장이 말하는 ‘스마트한 잡종’은 변신로봇 같은 인재다. 그러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고정관념을 버리고 사고의 경계가 없이 개방적이어야 합니다. 스펀지처럼 모든 것을 흡수할 줄 알아야 하죠. 한마디로 말하면 ‘유연성’입니다.”
함혜리 문화에디터 lotus@seoul.co.kr
2011-06-25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