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현충일은 학원 안 가는 날’이라는 요즘아이들

[사설] ‘현충일은 학원 안 가는 날’이라는 요즘아이들

입력 2011-06-06 00:00
수정 2011-06-06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오늘은 제56회 현충일이다. 현충일은 우리 민족이 최대의 수난과 희생을 당한 6·25전쟁을 상기시킨다.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선열과 국군장병들의 넋을 위로하고 충절을 추념하는 날이다. 현충일은 1956년 제정되었다. 대통령 이하 3부요인과 국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추념식이 열리고, 오전 10시 전 국민이 사이렌 소리와 함께 1분간 묵념을 올린다. 1982년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을 공포해 공휴일로 정해졌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며 추념보다 쉬는 날이 되어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 휴전 상태가 반세기 이상 지속됐지만 안보환경은 여전히 엄혹하다. 지난해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도발을 단행한 북한은 최근에도 “전면적 군사 보복” 운운하며 협박을 해댄다.

국가 안보에 대한 위기감이 없으면 평화는 못 지킨다. 현충일의 의미를 곰곰이 되새겨야 할 때다. 특히 나라의 미래를 짊어질 청소년들이 현충일을 단순하게 ‘노는 날’ 정도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아 걱정스럽다. 인터넷 포털에 올라온 청소년들의 현충일 인식은 충격적이다. 일부 청소년들은 현충일에 대해 “이순신 장군이 돌아가신 날”이라거나 “돌아가신 조상님을 기리는 날”이라는 인식을 드러냈다. 심지어 “중고생들은 학원 가고 초등학생들은 학원 안 가서 좋은 국가 공휴일”이라고까지 했다. 위험하다. 현충일은 아이들이 학원에 가지 않아서 좋은 날이 결코 아니다. 청소년들에게 6·25전쟁의 진상을 제대로 가르치고 안보의식을 강화해야 한다. 늦추면 안 된다.

청소년들이 6·25전쟁을 모르거나 남북한이 왜 싸웠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호국영령 희생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무리가 아닐 것이다. 그래서 고교 한국사 이수 의무화가 반갑다. 청소년들만 걱정할 문제도 아니다. 사회현실 전반이 부끄럽다. 현충일에 조기(弔旗)를 게양하지 않는 집이 많고 국내외 골프장과 유명 관광지를 찾아가는 연휴로 인식하는 이들이 늘었다. 보훈의식의 약화는 필연적으로 국가안보의식의 해이로 이어지게 된다. 나라를 위한 희생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6월 호국보훈의 달이 되도록 해야 한다. 오늘 나부터 조기를 달고, 어디에 있든지 1분간 묵념이라도 제대로 해보자.
2011-06-06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