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낭당 품고… 삶을 껴안은 옹골찬 다섯 그루
나무가 사람을 품었다. 한 그루만으로는 사람들의 마음과 뜻이 지나치게 컸던 때문일까. 다섯 그루가 한데 모여서, 사람의 희망과 소원을 켜켜이 담은 서낭당을 품었다. 처음엔 여섯 그루를 심고 그 나무들 가운데에 돌무지 탑을 세웠다고 한다. 그로부터 300년이 훨씬 지난 지금은 돌무지 탑 대신 서낭당이 들어섰고, 여섯 그루의 나무 가운데 한 그루는 가뭇없이 사라졌다. 눈 씻고 당집을 여러 차례 돌아가며 짚어봐야 다섯 그루뿐이다. 바람 따라 구름 따라 사람들이 들고 났던 것처럼 나무도 이미 오래전에 사라진 것이다.기장 죽성리 곰솔의 저녁 풍경. 모두 다섯 그루지만 한 그루의 나무처럼 균형 잡힌 생김새를 하고 있다.
●윤선도가 7년 유배 생활했던 마을
미역으로 유명한 부산 기장군의 어촌 마을, 기장읍 죽성리는 대나무가 많고 성곽이 있다 해서 죽성(竹城)이라는 이름을 가졌다. 세월 지나며 그 많던 대나무도 사라졌고, 임진왜란 때 일본인들이 지었다는 성곽도 푸른 이끼에 휩싸였다. 그러나 여전히 120가구의 삶이 오롯이 살아 있는 비교적 큰 마을이다.
꿈을 안고 대처로 떠난 사람도 있겠지만, 좌절된 꿈을 부여안고 들어온 사람도 있었다. 조선 중기의 시인 윤선도가 그렇다. 1618년에 윤선도는 이 마을에 들어와 7년 동안 유배 생활을 했다. 그는 소나무 몇 그루가 듬성듬성 서 있는 바닷가의 작은 둔덕에 황학대라는 이름을 붙였다. 황금빛 학이 날아오르는 바위라는 뜻으로, 이백과 도연명의 자취가 남아 있는 양쯔강의 황학루를 떠올린 것이다.
황학대 뒤편으로 이어지는 낮은 동산 마루에 커다란 나무가 있다. 국수당이라고 부르는 마을 서낭당을 품고 서 있는 다섯 그루의 곰솔이다. 멀리서 바라봐도 이 정도면 마을의 자랑이라 할 만큼 훌륭한 나무다.
“저 나무가 얼마나 귀한 나무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도 많지. 절반은 새로 들어온 사람들이거든. 하지만 여기서 오래 살아온 사람들한테 저 나무는 버팀목이지. 언제 심은 나무인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나 어릴 때에도 저만큼 컸어. 그때부터 지금까지 마을에서는 정월 대보름이면 나무에 당산제를 지내고 있어.”
이곳에서 태어나 80년 동안 한집에서 살아온 장묘윤(80) 노인의 이야기다. 사람 좋은 표정으로 나그네를 방 안에 들인 노인은 엎드려 누운 채 나무 이야기를 풀어낸다. 불편해 보이는 몸이지만 싱그러운 기색이다. 나무 이야기에 신명이 담겼다.
“내가 몸이 안 좋아서 일어나질 못해. 네 살 때 곱사등이가 돼서, 지금까지 이렇게 살지. 요즘이야 잘 고치는 병이라고 하지만, 그때는 어쩔 수 없었어. 그 바람에 멀리 나가지 못하고, 팔십 평생 그저 저 나무만 바라보며 살았지.”
기쁠 때나 슬플 때나 사람들은 하늘을 바라본다. 죽성리 사람들이 바라보는 그 하늘 가장자리에는 큰 나무가 걸려 있다. 부산시 기념물 제50호인 기장 죽성리 곰솔은 그렇게 마을 사람들의 모든 기쁨과 슬픔을 보듬어 안고 살았다. 처음에야 사람이 나무를 보살폈겠지만, 사람의 도움으로 잘 자라난 나무는 이제 거꾸로 사람을 지켜주는 듬직한 나무가 됐다.
자동차는 언감생심 드나들 수 없는 좁은 골목길. 나무는 그 길 너머 마을 뒷동산 마루에 우뚝 서서 오랜 세월 동안 마을 사람들의 버팀목 노릇을 했다. 돌무지 탑 대신 당집을 처음 놓은 게 언제인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다섯 그루 가운데에 떡하니 자리 잡은 당집은 처음부터 그 자리에 있었던 듯 견고하다.
마을 사람들은 곰솔 가운데의 서낭당을 국수당이라고 부른다. 국수당은 서낭당의 다른 이름으로, 옛 사람들이 소원을 빌기 위해 지은 당집이다. 당산나무 근처에 당집이 있는 게 남다르다 할 건 없지만, 여러 그루의 큰 나무가 서낭당을 둘러싸고 있는 경우는 아마도 유일한 풍경이지 싶다.
“누가 심었는지는 알 수 없어. 마을의 평화와 안녕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옛날에 여섯 어른이 한 그루씩 심은 나무라고만 알고 있어. 국수당은 몇 차례 다시 지은 거야. 나무야 세월 지나도 끄떡 없지만 사람이 지은 당집은 허물어지게 마련이잖아.”
다섯 그루의 나무들은 하늘을 향해 12m 넘게 자랐고 제가끔 펼친 품을 합하면 무려 20m를 넘는다. 그중 한 그루는 아예 긴 세월 동안 지탱해온 몸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제 가지를 땅 바닥에 내려놓을 참이다. 머지않아, 언덕 위에 무거운 제 몸을 가만가만 내려놓고 사람들에게 천천히 다가설 듯하다.
●다섯 그루가 모여 빚어 더 아름다운 풍경
더 놀라운 건 다섯 그루의 나무가 마치 잘생긴 한 그루의 나무처럼 서로를 배려하며 지어낸 풍경이다. 가지를 한껏 뻗어 냈지만, 다른 나무의 자람을 방해하지 않는 쪽으로만 멀리 뻗어 냈다. 바다를 바라보고 서 있는 나무는 온 힘을 다해 바다 쪽으로 가지를 뻗었고, 마을에 가까이 서 있는 나무는 마을 사람들을 향해 몸을 풀었다. 자신에게 주어진 햇살만으로 이토록 옹골차게 제 살림살이를 꾸려냈다.
결국 한 그루로서는 도저히 지어낼 수 없는 장관을 이루었다. 멀리서 보면 영락없이 아름다운 한 그루의 나무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도 이 다섯 그루의 나무를 복수형으로 부르지 않고 단수형으로 그저 ‘국수당 곰솔’ 혹은 ‘우리 나무’라고 부른다.
“워낙 생김새가 좋은 나무여서 찾아오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아. 그래서 오년 전에는 마을 당산제와 별도로 별신굿을 크게 올렸지. 일주일 동안 굿을 지냈으니 얼마나 컸는지 알 만하지.”
창밖으로 어둠이 짙게 내렸지만 장 노인의 나무 이야기는 끝 모르고 이어진다. 그의 삶을 짓누른 등짝만큼 고통스러웠던 삶의 무게를 나누어 품었던 나무에 대한 경배이지 싶다. 세상의 모든 나무가 사람살이를 더 아름답고 평화롭게 한다지만, 기장 죽성리 곰솔만큼 사람살이를 온몸으로 품는 나무는 흔치 않음이 틀림없다.
글 사진 부산 고규홍 나무칼럼니스트 gohkh@solsup.com
>>가는 길 부산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249. 기장군을 가려면 부산 울산 간 고속국도의 기장 나들목을 이용하는 게 좋다. 나들목에서 4㎞쯤 남쪽으로 가면 기장군청이 나온다. 군청 정문에서 남쪽으로 500m 가면 나오는 오거리에서 7시 방향으로 돌아 신천리로 들어선다. 2.7㎞ 가면 죽성초등학교가 나오는데, 학교를 지나면서 곧바로 오른쪽으로 난 좁다란 길로 들어서면 언덕 위로 나무가 보인다. 마을 안 골목이 비좁아 자동차는 마을 입구의 공터에 세워야 한다.
2011-02-1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