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의회, 한·미FTA 전폭 지지… 쇠고기 계속 제기할 것”

“美의회, 한·미FTA 전폭 지지… 쇠고기 계속 제기할 것”

입력 2011-02-09 00:00
수정 2011-02-09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웬디 커틀러 미국 측 수석대표(USTR 대표보) 본보 현지 인터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미국 측 수석대표인 웬디 커틀러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보는 7일(현지시간) 가능한 한 빨리 한·미 FTA 의회 비준이 이뤄지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미 행정부의 기류를 전했다. 커틀러 대표보는 워싱턴의 USTR 사무실에서 가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미 FTA의 의회 비준을 위해 정부 각 부처와 의회 간 협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커틀러 대표보는 그러면서 쇠고기 문제에 대한 미국 내 우려를 앞으로도 계속 한국 정부에 제기할 것이라고 밝혀 한·미 FTA 비준과 관계없이 쇠고기 시장 추가개방에 대한 미 행정부의 파상공세가 계속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자칫 양국 의회 비준과정에서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을 예고한 것으로 풀이돼 향배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웬디 커틀러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보가 7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집무실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갖기에 앞서 환하게 웃으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웬디 커틀러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보가 7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집무실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갖기에 앞서 환하게 웃으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상원 재무위원장인 민주당의 맥스 보커스 의원은 쇠고기 문제를 들어 FTA 반대입장을 밝히고 있다. 의회와 협상 과정에서 쇠고기 문제가 다시 거론될 수 있나.

-한국 소비자에 대한 미국산 쇠고기의 접근성 문제에 대한 미국 내 우려를 계속해 한국 정부에 제기할 것이라는 점을 밝혀 두겠다.

→쇠고기시장의 완전 개방 문제를 한국 정부에 요구하겠다는 말인가.

-쇠고기 문제에 대해서는 앞서 밝힌 것 이상은 할 말이 없다.

→한·미 FTA 추가협상에 대한 한국 내 반대 여론이 걱정되지 않나.

-그 부분은 한국 정부가 담당할 몫이고, 우리는 미국내 절차에 집중하고 있다.

→미 의회 분위기는 호의적으로 바뀌었나.

-추가협상 결과에 대해 많은 이해당사자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추가협상이 시작된 뒤 가장 어려웠던 순간은.

-한국과의 협상은 한번도 만만한 적이 없었다. 지난해 11월 G20 서울 정상회의 기간 중 협상 때가 매우 어려웠다. 협상 타결을 선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그러지 못했고 결국 3주 뒤에 최종 타결을 지을 수 있었다. 이는 쉽지 않은 상황에서도 경제적·전략적 중요성을 감안한 양국 정부의 타결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반영했다고 본다.

→2006년 한·미 FTA 협상이 개시된 이래 5년째 한·미 FTA를 담당하고 있다. 한·미 FTA에 대해 감회가 남다를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 한·미 FTA는 가장 큰 성과라고 생각한다. 수년째 관여하고 있고, 한·미 FTA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이제 막바지 단계에 이르게 돼 매우 기쁘다. 우리는 조만간 의회 비준을 위한 이행법안을 제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나뿐만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이 협상 타결을 위해 노력했고, 3명의 USTR 대표가 관여했다. 개인적 차원뿐 아니라, 미국과 한국 모두에 상당한 성과라고 생각한다.

→한·미 FTA 협상을 하면서 한국에 대한 생각에 변화가 생겼나.

-물론이다. 한국을 매우 좋아하게 됐다. 한국이 지난 50년간 이룩한 성과를 존경한다. 한국은 세계 1, 2위 경제권인 미국· 유럽연합(EU)과 동시에 FTA 체결을 목전에 둔 유일한 나라이다.

→한국, 한국민에 대해 특히 인상적인 게 있다면.

-협상 초기 한·미 FTA에 대한 한국민들의 지대한 관심에 매우 놀랐다. 미국에서는 2006~2007년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한·미 FTA에 대해 들어본 사람도 거의 없을 정도였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협상이 진행되는 내내 연일 신문들의 1면을 장식했고, 사람들이 협상의 구체적인 내용까지 자세히 알고 있고, 논의가 활발했던 것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협상 측면에서는 내가 만났던 어떤 협상 상대들보다 터프했다. 한국의 협상팀은 터프하고 뛰어났으며, 타협을 할 줄 아는 사람들이었다. 한국의 국익을 대변하기 위해 노력했다. 한·미 FTA와 내용은 비슷한데도 한·EU FTA에 대한 한국민과 한국 국회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덜한 것을 보면서 압박을 많이 느꼈었다. 미국과 관련된 것은 어떤 것이든 한국에서는 특별한 관심대상이라는 사실을 새삼 실감했다.

→수석대표로서 한·EU FTA가 신경이 쓰이기는 했나.

-한국이 EU와 FTA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뒀다. 하지만 우리는 미국 내부에서 수용할 수 있는 최선의 협상을 이끌어 내는 것이 더욱 중요했다.

→향후 계획은.

-한국과의 협상은 끝났지만 미 국내적으로 아직 처리해야 할 일들이 많다. 의회 비준을 받아야 하고, 협정이 발효되면 이를 이행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앞으로 상당 기간은 론 커크 USTR 대표를 도와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전력투구해야 한다.

글 사진 워싱턴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2011-02-09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