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 개원 20주년 맞는 권재일 원장
“한국어가 소멸되지는 않겠지만, 제대로 지키지 못하면 (국제어가 아닌) 가정에서나 쓰는 비공식 언어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국어 보존의 절박한 문제를 해결하고 국어 사용 환경을 향상시키는 데 노력하겠습니다.”권재일(58) 국립국어원장은 19일 국립국어원 개원 20주년을 기념해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언론간담회에서 “미래학자들은 지구상의 6700여개 언어 가운데 21세기 안에 대다수가 소멸하고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 정도만 살아남고 일본어, 독일어 등은 간신히 명맥만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한국어도 어떻게 될지 모르는 만큼 국어 보존의 절박한 상황을 해결하는 데 국어정책의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권재일 국립국어원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권 원장은 한국어가 완전히 사라지진 않겠지만 필리핀 타갈로그어나 부탄의 종카어처럼 생활언어, 가정언어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정치, 행정, 법률, 학문 등 전문 언어의 영역은 영어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그는 “언어학계에서 대체로 1억명 이상의 인구가 쓰는 언어는 쉽게 소멸하지 않는 것으로 보는 만큼 남북한 인구 7600만명 외에 2400만명 정도를 더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 원장은 국어 보존을 위해 올해와 내년에 걸쳐 ▲전문용어의 우리말 순화 ▲지역어(방언) 보존 ▲한국어의 해외 전파 ▲정보기술을 활용한 국어 정보화 등 네 가지 사업을 집중 추진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남북 언어학자회의 재개 노력
이를 위해 우선 내년까지 27개 분야의 전문용어 34만개를 쉬운 우리말로 바꿔 학계와 국민들에게 보급하고, 전국을 9개 권역으로 나눠 유네스코의 소멸위기 언어로 등록된 제주 방언을 비롯한 지역어 보존에 힘을 쏟기로 했다.
권 원장은 “세계적으로 새로운 지식과 용어가 계속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국어를 보존하려면 제대로 된 영·한, 한·영 자동번역 프로그램 개발이 꼭 필요하다.”며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만 정부와 공학자, 국어학자들이 힘을 합쳐 반드시 해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몇년간 중단됐던 남북언어학자 회의도 재개하도록 노력 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개원 20주년 기념식은 21일 서울 방화동 국어원에서 열린다.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1-01-20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