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현판 이번엔 소나무 시비

광화문 현판 이번엔 소나무 시비

입력 2010-11-16 00:00
수정 2010-11-16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복원한 지 두달도 안 돼 균열이 생겨 논란이 됐던 광화문 현판이 이번엔 ‘소나무 시비’에 휩싸였다. 현판 균열을 처음 공론화했던 최문순 민주당 의원은 15일 “현판에 쓰인 소나무가 금강송이 아닌 일반 소나무”라고 주장했다. 이에 소나무를 납품한 당사자이자 광화문 복원공사 총책임자였던 신응수 대목장이 “현판을 뜯어 확인해 보라.”며 즉각 반박하고 나섰다.

최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문화재청의 내년 예산안 심의를 위한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전체회의에 앞서 보도자료를 내고 “금강송은 붉은 빛을 띠지만 현판에 사용된 목재는 황백색이고, 금강송은 나이테 간격이 좁고 모양이 일정한 반면 현판 목재의 나이테 간격은 넓다.”며 “관련 전문가들에게 자문한 결과 광화문 현판에 사용된 수종이 일반 소나무임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광화문 현판에 결이 바르지 않은 나무가 사용됐고, 옹이가 많은 나무 윗동이 공급됐으며, 곧은결 판재가 아닌 건조 시 뒤틀리기 쉬운 무늬결 판재 등이 쓰였다.”면서 “균열도 이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 대목장은 “(금강송인지 아닌지 궁금하면) 현판을 직접 뜯어서 확인해 보라.”며 불쾌해했다. 그는 “나무를 모르는 사람들이 자꾸만 이상한 이야기를 지어낸다.”면서 “(제대로 된 현판 재료를 쓰려면) 직경 1m짜리 금강송이 있어야 하는데 우리나라에 그런 소나무가 어디 있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그런 소나무가 없는 상황에서 (현판 재료로 공급한 금강송을) 폭 45㎝짜리 송판으로 만들기 위해 나무를 옆으로 켤 수밖에 없었으며, 균열이 바르게 발생하지 않은 것은 그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문화재청은 현판 균열 원인에 대해 종합 조사를 진행 중인 만큼 금강송 진위 논쟁도 함께 검증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고건축 전문가인 김홍식 명지대 교수는 “금강송은 금강산에서 나는 소나무라고 해서 이름 붙여졌지만 울진이나 삼척 지방에서도 자란다.”면서 “금강송은 껍질이 붉은 빛을 띠고 곧게 자라기 때문에 건축이나 조각 재료로 가장 선호하는 소나무이고, 그에 비해 육송은 상대적으로 껍질이 두껍고 잘 벗겨지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11-16 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