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현실화 되나] 한국은 왜 늘 고물가에 시달릴까

[인플레 현실화 되나] 한국은 왜 늘 고물가에 시달릴까

입력 2010-11-02 00:00
업데이트 2010-11-02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20년 日의 9배·美의 2배수준

1일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09년까지 20년 간 미국은 연 평균 2.8%, 영국은 2.6%, 일본은 0.5%의 물가 상승률을 보였다. 하지만 같은 기간 한국은 연 평균 4.4%를 기록했다. 10년 넘는 장기 디플레이션을 거친 일본을 제외하더라도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보다 1%포인트 이상 높다. 금융위기 직후 이런 상황은 더욱 도드라진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는 2.8% 올랐지만 같은 아시아권인 일본과 타이완은 각각 1.3%와 0.8% 내렸다.

우리나라 물가가 선진국에 비해 가파르게 움직이는 이유는 심리적 요인인 기대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된 게 큰 이유다.

●“과거에도 올랐으니…” 심리가 문제

물가가 과거에도 올랐으니 미래에도 그만큼 오를 것으로 생각하는 심리가 다른나라보다 유독 강하다는 것이다. 뿌리깊은 독과점 구조와 유통구조의 비효율성도 물가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는 생산자물가보다 상승률이 유독 높은데 이는 유통과정에서 많은 이윤이 추가된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0-11-02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