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 학창시절 생생히 재현

윤동주 학창시절 생생히 재현

입력 2010-10-16 00:00
업데이트 2010-10-16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완간

최근 오랜만에 TV 예능프로그램에 출연한 윤형주, 조영남, 송창식은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감상실 ‘쎄시봉’에서 노래 불렀던 이들이다. TV에 출연한 조영남은 직접 작곡한 윤동주의 ‘서시’를 노래 부르며 윤형주가 고(故) 윤동주 시인의 6촌 동생이라고 소개했다.

윤형주는 “해방을 6개월 앞두고 일본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세상을 떠난 윤동주 시인의 유해를 가지고 돌아오신 분이 우리 아버지”라며 “1400곡이 넘는 광고음악을 작곡했지만 아버지는 시도 노래라며, 나의 잘난 작곡으로 시를 건드리지 말라고 하셨다.”고 말했다. 형님인 윤동주 시인의 시로 노래를 만들고 싶었지만 아버지의 만류로 하지 못했던 윤씨는 조영남이 작곡한 ‘서시’가 “결국 히트하지 못했다.”고 면박을 줘 사람들을 웃겼다.

서정 시인 윤동주(1917~1945)는 대한민국 국민의 마음을 촉촉이 적시는 시로 여전히 우리에게 친근하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최동호 엮음, 서정시학 펴냄)는 그동안 여러 차례 출간된 윤동주 전집이지만 고려대 국문과 교수가 고인의 육필 원고 노트 두권을 치밀하게 대조하고 그간 간행된 자료들을 총정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저자인 최동호 교수는 ‘황사 바람’ ‘불꽃 비단벌레’ 등의 시집을 펴낸 시인이기도 하다.

저자는 “윤동주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발간 60주년인 2008년부터 작업을 시작해 3년 만에 완간했다.”며 “연세대 윤동주 기념관의 사진자료를 대폭 보완하여 학창시절의 생생한 윤동주 모습을 재현해 볼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책에 정리된 윤동주의 작품은 모두 127편이며 산문 4편이 포함되어 있다. 원전의 한자를 버리지 않았고 다른 어떤 윤동주 전집보다 육필원고에 가깝게 접근하되 오늘의 독자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꾸며졌다. 순결한 삶을 지향하고 순정한 모국어를 갈고닦은 윤동주 시인의 시는 언제 읽어도 가슴을 울리는 고전이다. 저자는 “참인간으로서 자기완성을 위해 노력하는 주체적 젊은 세대라면 윤동주의 시를 읽고 그가 전하는 진실한 삶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보라.”고 조언한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10-16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