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분거리에 병원없는 소외지역 45곳

30분거리에 병원없는 소외지역 45곳

입력 2010-08-23 00:00
수정 2010-08-23 01: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강원 삼척시 근덕면 무릉리에 사는 이모(86) 할머니는 병원에 가려면 1시간을 걸어야 한다. 집에서 병원과 보건지소가 있는 시가지까지 거리도 멀지만 마땅한 버스도 없다. 이 할머니는 “보행기에 의지해 열 번도 넘게 쉬며 간다.”면서 “보건지소라도 집 가까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노환을 앓는 이 할머니처럼 지역에 이용할 의료시설이 없는 ‘의료취약지역’이 처음 분석됐다. 기초 의료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최단시간인 30분 거리에 병원이 없는 읍·면·동의 비율이 40% 이상인 시·군은 45곳이었다.

22일 경상대 의학전문대학원 박기수 교수 연구진의 ‘의료취약지 선정 기준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이동시간 30분에 해당하는 10~15㎞ 내에 의원 등 의료기관이 없는 ‘의료취약지’ 읍·면·동은 전국 3474개 중 440곳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읍·면·동의 비율이 40% 이상인 시·군은 강원도가 10곳, 경기 5곳 등 45개 지역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북이 9곳, 전남 7곳, 전북 5곳, 충북 4곳, 경남 3곳, 제주와 인천이 각각 1곳이었다.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은 이번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해 전국의 의료기관 분포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연구진은 해외 연구 등을 토대로 1차 의료기관에 대한 최단 접근시간을 30분으로 정했고 이를 초과하는 전국 읍·면·동별 의료기관 현황을 분석했다. 또 내과와 소아청소년과, 외과, 정형외과, 안과 등 10개 진료과목별로도 병원 현황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이들 의료취약지 45개 시·군 가운데 특히 지역의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강원 영월군과 경북 봉화·영양군, 충북 보은군, 전남 고흥군 등 14곳을 ‘우선 지원 대상 의료취약지’로 정했다. 14곳은 경제뿐만 아니라 주거환경과 교육여건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해 선정됐다. 박 교수는 “정부는 우선적으로 이들 지역을 공공의료기관 지원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공공의료 정책 수립에 앞서 의료취약지에 대한 개념이 새롭게 논의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각 지역의 인구 특성과 경제적 특성, 영아 사망률 및 만성병 유병률 같은 보건학적 특성 등을 고려한 다각적 분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 2~3년 단위로 농어촌의 경제 및 인구 실태 등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 교수는 “산부인과 현황 등 병원별 분석은 있었지만, 전체 병원에 대한 현황 조사는 처음”이라며 “취약지역 지자체 재정이 열악한 만큼 중앙정부가 비용을 전액 부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이번 연구를 비롯한 관련 용역과 전문가 진단을 토대로 내년 상반기까지 의료취약지를 지정·고시하고 전국 단위의 의료자원 배치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안석기자 ccto@seoul.co.kr
2010-08-23 8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