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가동률 쌩쌩 경기선행지수 썰렁

제조업가동률 쌩쌩 경기선행지수 썰렁

입력 2010-07-31 00:00
수정 2010-07-31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산업 동향’으로 본 경기전망

지난달 국내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22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현재 경기상황을 나타내는 동행지수도 한 달 전보다 0.8% 상승했다. 우리 경제가 위기회복을 넘어서 확장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최근 한국은행의 진단이 수치로 나타난 셈이다. 하지만 내일도 오늘과 같을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향후 경기를 예측케 하는 선행지수가 6개월째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제조업 평균가동률 83.9%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현재 국내 공장들은 ‘3저(低) 호황’을 누렸던 1980년대 후반 만큼 쌩쌩 돌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6월 광공업 생산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9% 늘어 12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광공업 생산은 수출 강세와 내수 호조에 힘입어 전월 대비 1.4% 늘면서 지난해 11월 이후 8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특히 제조업이 활황을 보이고 있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12월 62.8%까지 추락했던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지난 2월 80%를 돌파한 후 지난달에는 83.9%까지 치솟았다. 1987년 10월(84.0%)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수출 출하가 전년동월 대비 18.3% 늘어나며 경기회복을 앞장서 이끌었고 내수 출하도 11.9% 증가하며 힘을 보탰다.

●“경기하락 시작” vs “해석 과하다”

그러나 앞으로의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경기선행종합지수가 6개월째 하락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에는 선행지수를 구성하는 10개 항목 중 순상품교역조건, 구인구직비율, 장단기금리차, 재고순환지표 등 6개 항목이 마이너스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선행지수가 경기상승 또는 경기하락의 방향성을 띠기 시작하면 짧게는 3개월, 길게는 10개월 후 실물경제에 반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개월 연속 하락했으니 이미 선행지수가 경기하락의 사인을 준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정부는 과도한 우려라고 주장한다. 최근 선행지수 하락세는 지난해 지수가 높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세계 경제 회복으로 수출이 강세를 보이고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한 고용 회복과 소비심리 호조가 이어지고 있어 회복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라면서 “다만 유럽 재정위기, 미국과 중국의 경기 둔화 가능성 등 대외 불안요인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0-07-31 1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