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동향’으로 본 경기전망
지난달 국내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22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현재 경기상황을 나타내는 동행지수도 한 달 전보다 0.8% 상승했다. 우리 경제가 위기회복을 넘어서 확장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최근 한국은행의 진단이 수치로 나타난 셈이다. 하지만 내일도 오늘과 같을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향후 경기를 예측케 하는 선행지수가 6개월째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통계청이 30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현재 국내 공장들은 ‘3저(低) 호황’을 누렸던 1980년대 후반 만큼 쌩쌩 돌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6월 광공업 생산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9% 늘어 12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광공업 생산은 수출 강세와 내수 호조에 힘입어 전월 대비 1.4% 늘면서 지난해 11월 이후 8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특히 제조업이 활황을 보이고 있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12월 62.8%까지 추락했던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지난 2월 80%를 돌파한 후 지난달에는 83.9%까지 치솟았다. 1987년 10월(84.0%)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수출 출하가 전년동월 대비 18.3% 늘어나며 경기회복을 앞장서 이끌었고 내수 출하도 11.9% 증가하며 힘을 보탰다.
●“경기하락 시작” vs “해석 과하다”
그러나 앞으로의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경기선행종합지수가 6개월째 하락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에는 선행지수를 구성하는 10개 항목 중 순상품교역조건, 구인구직비율, 장단기금리차, 재고순환지표 등 6개 항목이 마이너스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선행지수가 경기상승 또는 경기하락의 방향성을 띠기 시작하면 짧게는 3개월, 길게는 10개월 후 실물경제에 반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개월 연속 하락했으니 이미 선행지수가 경기하락의 사인을 준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정부는 과도한 우려라고 주장한다. 최근 선행지수 하락세는 지난해 지수가 높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세계 경제 회복으로 수출이 강세를 보이고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한 고용 회복과 소비심리 호조가 이어지고 있어 회복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라면서 “다만 유럽 재정위기, 미국과 중국의 경기 둔화 가능성 등 대외 불안요인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0-07-31 1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