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100년 대기획] 양국 간판기업 역전 배경

[한·일 100년 대기획] 양국 간판기업 역전 배경

입력 2010-02-24 00:00
수정 2010-02-24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니 아날로그에 취했을때 삼성은 디지털에 도전했다

십수년 전만 해도 전 세계 청소년들의 ‘로망’은 소니 ‘워크맨’과 ‘핸디캠’이었다. 서울 강남 가정집에는 삼성이나 LG가 아닌 소니 TV가 거실을 차지했다.

이미지 확대
그런 소니의 명성이 최근들어 삼성으로 넘어왔다. 세계 최대 수요처인 북미 시장에서 팔리는 휴대전화·TV·냉장고 등 주요 가전의 3분의1은 ‘Samsung’이란 마크가 찍혀 있다.

23일 가전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부상과 소니의 몰락은 2000년대 들어 본격화했다. 삼성전자는 2002년 시가총액, 2004년 달러화 기준 매출액, 2005년 브랜드 가치와 신용평가 등급, 2006년 TV 판매량, 2007년 특허 출원수 등에서 소니를 앞질렀다.

이는 소니가 과거에 집착한 나머지 새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 브라운관TV와 워크맨, 핸디캠의 영광에 안주해 액정표시장치(LCD)TV·MP3 플레이어·디지털카메라 등 디지털기기 시장의 주도권을 삼성전자와 애플에 빼앗긴 것이다.

손민선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최근 ‘소니와 애플의 갈림길’이라는 연구보고서에서 “소니는 시장을 읽지 않고 예측하려 했고, 폐쇄적인 전략에 발목이 잡혀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말했다.

미국 경제주간지 비즈니스위크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저가TV 대신 고가TV에 신속하게 제품 구성을 맞춘 것이 소니의 기반을 잠식하고 점유율을 끌어올린 동력이 됐다.”고 분석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소니와 정반대의 행보로 성공을 거뒀다. 삼성전자는 인텔 등 세계적 기업과의 제휴도 마다하지 않고, 반도체·휴대전화·LCD TV 등에 집중 투자했다.

시장의 수요를 미리 읽고 과감한 시설 투자를 통해 성공을 거둔 셈이다. 고가 정책을 앞세워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 연구·개발(R&D)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으며 기술 개발에 전력한 것도 주효했다. 그 결과 반도체와 LCD, 휴대전화, TV 등 디지털 미디어 전 분야에서 각각 1조원 이상의 고른 수익을 거둘 수 있었다.

박승록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연구실장은 “삼성전자는 강력한 오너십을 바탕으로 라인 하나 만드는 데 3조원 이상 들어가는 반도체와 LCD 부문에 과감히 투자해 미래의 먹을거리를 발굴해냈다.”면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수익을 종잣돈 삼아 다른 사업에 뛰어든 것이 일본 기업들을 넘어 지속성장을 할 수 있었던 비결”이라고 진단했다.

‘소니의 몰락’ 요인은 거시경제적 측면에서도 발견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일본 경제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 소득 창출력 약화에 따른 만성적 저성장에 시달리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니 등 일본 기업들은 비정규직 활용을 늘려 비용 절감과 수익 개선을 꾀했지만, 이는 ‘기술력 우위’라는 일본 고유의 장점을 스스로 무너뜨리는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0-02-24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