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때문에 졸업도 연기하고 휴학까지 했지만 아직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부턴 탈모까지 생겨 전문가 상담을 받고 있습니다.”(이화여대 4년 A학생) “중·고등학교 땐 성적 걱정만 하다 보니 대인관계는 뒷전이었죠. 대학에서도 친구 문제로 다퉈 시험을 망친 적이 있습니다. 취업한 뒤에도 회사 조직생활을 견딜 수 있을지, 병원에라도 가봐야 할까요.”(서울대 3년 C학생)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최근 들어 ‘마음의 병’으로 정신적·육체적 고통을 겪으며 교내 상담센터의 문을 두드리는 대학생들이 늘고 있다. 경기불황으로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스펙 강박증’ 등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학생들이 많고, 취업에만 매달리면서 대인관계가 소홀해져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신경정신과 전문의 등은 방치할 경우 큰 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15일 서울대 학생상담센터에 따르면 진로 및 대인관계 문제로 상담을 받은 건수가 지난달 이후 매주 100건 안팎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이상 늘었다. 연간 신규 상담신청 학생 수도 2004년 204명에서 지난해 458명으로 4년 사이에 2배 이상 늘었다. 김지은 서울대 상담전문위원은 “대인관계가 서툴러 직장에서의 단체생활에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다른 대학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경희대 상담센터 상담건수는 2006년 1836건에서 올 10월 말 현재 3960건으로 배 이상 증가했다. 이화여대도 하루 평균 7~8명이던 상담학생 수가 이번 겨울방학을 앞두고 2~3배 가까이 늘었다. 이에 기존 상담 인력으로는 감당할 수 없어 아예 인터넷 신청 접수를 중단했다. 김현주 경희대 대학생생활연구소 전문상담원은 “사회에서 대졸자에게 요구하는 조건들은 점점 많아지는 반면 취업은 예전보다 더 어려워지면서 심리상담이 필요한 학생들의 수도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심리상담을 필요로 하는 대학생들이 갈수록 늘고 있어 사회 전체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홍진표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교수는 “요즘 대학생들은 교양이나 인간관계를 폭넓게 학습하지 못하는 데다 1학년 때부터 성적과 자격증 같은 취업준비에만 몰두하다 보니 어려움에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면서 “대학 내내 취업 준비에 올인한 이들이 직장에 들어가 원했던 성취감을 이루지 못하면 더 큰 좌절감으로 낙오될 수 있다.”고 말했다.
송재룡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는 “급격한 도시화와 개인화로 가족이나 학교 선배 같은 심리적 지지층이 줄면서 과거엔 저녁 밥상이나 선후배 간 대화로 해결할 수 있었던 문제들을 혼자 떠안고 있다.”며 “취업을 한 뒤에도 사회적 문제로 비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09-12-1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