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살 世孫시절 정조 ‘얼굴 종기’때문에 고통

스무살 世孫시절 정조 ‘얼굴 종기’때문에 고통

입력 2009-12-03 12:00
수정 2009-12-03 12: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조부 등에 보낸 편지 60통 발굴

“외손(外孫)은 얼굴에 종기가 나서 고름이 맺혀 찌르는 듯한 통증이 고민입니다.”

여드름으로 추정되는 얼굴 종기로 고생하던 스무살 정조(1752~1800)가 외할아버지에게 쓴 편지의 일부분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관장 박병련)은 2일 정조가 세손(世孫) 시절 외할아버지인 홍봉한(1713~1778)과 재위 시절 남인의 영수 채제공(1720~1799)에게 보낸 편지 2첩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이 중 세손 시절 정조가 1772년(임진년·영조 48년) 1월2일부터 5월24일까지 작성한 편지 37통을 모은 임진어찰첩(壬辰御札帖)에는 또래 젊은이들과 다름 없는 정조의 솔직한 고민이 그대로 드러난다.정조는 외할아버지에게 “코 옆에 작은 종기가 나서 아프니 아주 고민”(2월18일)이라거나 “눈동자에 이상이 있어 눈을 뜨기가 어렵다.”(5월2일)며 고민을 털어놓기도 하고, “북한산에 갔을 때 몇 편의 율시와 절구를 지었다.”며 품평을 부탁하기도 했다. 때론 “임금(영조)의 나이가 점점 높아져 신하들이 명령을 쉽게 어겨도 누르지 못한다.”며 정치적 문제를 언급했다.

채제공 가문에 보낸 편지 22통과 독서기 1편이 묶인 기미어찰첩(己未御札帖)은 1799년 10월3일부터 12월30일까지 작성된 것으로, 정조가 임기 중 벌인 발간사업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정조는 ‘어찰 정치’를 했다고 할 만큼 많은 편지를 남겼다. 지난 2월에 공개된 노론의 영수 심환지에게 보낸 297통의 편지를 포함, 현재 알려진 정조의 편지는 국내에만 900여통에 이른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09-12-0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