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반응 중에서도 특히 후천면역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세포가 바로 체내 흉선에서 주로 만들어지는 T세포이다. T세포는 다시 ‘조력 T세포’, ‘세포독성 T세포’ 및 ‘조절 T세포’ 등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조력 T세포가 활성화되면 다양한 감염성·세포성 질환에 대응하는 항체 생성 등의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되며, 세포독성 T세포는 특히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이상세포들을 찾아내 제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이러한 면역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하고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는 세포가 바로 조절 T세포이다.
이들 세포는 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 분자에 의해 구분되는데, 각각의 종류에 따라 ‘CD8’, ‘CD4’, ‘CD25’ 등 발현되는 단백질 분자가 서로 달라 식별이 가능하다.
조유숙 교수는 “특히 외부에서 세균이나 이상반응을 유발하는 특정 항원이 체내로 들어왔을 때, 조력 T세포가 사이토카인(cytokine)과 같은 특정 물질을 분비하여 세포독성 T세포와 B세포의 활성도를 높이면 세포독성 T세포는 병원체에 감염된 세포들을 죽이게 되며, B세포는 항체를 계속 분비하여 항원의 활성을 억제한다.”며 “이때 조절 T세포는 면역활동을 적절히 조절하는 역할을 맡는다.”고 설명했다.
B세포란 림프구 중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로, 면역 반응에서는 외부에서 침입하는 항원에 대항하는 항체를 만들어 낸다. 인체에서는 혈중 림프구의 10∼15%, 림프절내 림프구의 20∼25%, 비장내 림프구의 40∼45%가 B세포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이 가운데 조력 T세포가 활성화되면 다양한 감염성·세포성 질환에 대응하는 항체 생성 등의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되며, 세포독성 T세포는 특히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이상세포들을 찾아내 제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이러한 면역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하고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는 세포가 바로 조절 T세포이다.
이들 세포는 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 분자에 의해 구분되는데, 각각의 종류에 따라 ‘CD8’, ‘CD4’, ‘CD25’ 등 발현되는 단백질 분자가 서로 달라 식별이 가능하다.
조유숙 교수는 “특히 외부에서 세균이나 이상반응을 유발하는 특정 항원이 체내로 들어왔을 때, 조력 T세포가 사이토카인(cytokine)과 같은 특정 물질을 분비하여 세포독성 T세포와 B세포의 활성도를 높이면 세포독성 T세포는 병원체에 감염된 세포들을 죽이게 되며, B세포는 항체를 계속 분비하여 항원의 활성을 억제한다.”며 “이때 조절 T세포는 면역활동을 적절히 조절하는 역할을 맡는다.”고 설명했다.
B세포란 림프구 중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로, 면역 반응에서는 외부에서 침입하는 항원에 대항하는 항체를 만들어 낸다. 인체에서는 혈중 림프구의 10∼15%, 림프절내 림프구의 20∼25%, 비장내 림프구의 40∼45%가 B세포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2009-11-2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