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디플레이션

日 디플레이션

입력 2009-11-18 12:00
업데이트 2009-11-18 1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쿄 박홍기특파원│일본 경제의 디플레이션이 현실화됐다. 경기 침체 속에 물가와 서비스의 가격이 계속 하락하는 상황에 빠진 까닭에서다.

일본 정부는 20일 발표하는 ‘11월 월례경제보고’의 기조판단에서 ‘디플레이션 인정’이라는 표현을 공식적으로 포함시킬 방침을 굳혔다.

간 나오토 부총리는 17일 각료회의를 끝낸 뒤 소비자 물가지수가 9월까지 3개월 연속 2%대의 마이너스인 점을 고려, “여러가지 지수를 종합해 디플레이션의 경향이 지속될 때 ‘디플레이션 상태에 있다.’라고 표현을 하는 관례가 있다.”고 밝혔다.

또 “최종적으로 월례경제보고에 표현이 들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후루가와 모토히사 내각부 부대신도 16일 저녁 “디플레이션에 빠져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며 디플레이션 현상을 사실상 내비쳤다.

정부는 지난 2001년 3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월례경제보고에서 ‘경제가 완만한 디플레이션 상태에 있다.’라고 판단했었다. 이로써 3년 3개월 만에 정부의 월례경제보고에 ‘디플레이션’이 다시 등장하게 됐다.

내각부가 16일 내놓은 올해 7∼9월기 국내총생산(GDP)은 2분기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지만 생활과 직결된 물가변동을 반영한 명목 GDP는 기업수익 및 근로자 임금 감소로 6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국내 물가변동지수인 디플레이터는 지난해 7∼9월과 비교, 무려 2.6%가 떨어져 1958년 7∼9월기의 3.9% 이래 3번째 큰 폭의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물가 하락은 기업 수익의 압박→고용 및 임금 악화→개인 소비위축→물가 하락이라는 경제의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

현재 쇼핑몰 ‘세이유’의 청바지 가격은 850엔(1만 900원 상당)으로 내려갔을 정도다. 일본은행은 2011년까지 소비 물가 및 기업 물가가 계속 하락할 것으로 관측했다.

hkpark@seoul.co.kr



2009-11-18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