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인간인가? 】 마이클 가자니가 지음 박인균 옮김 추수밭 펴냄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다른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어떤 대답을 할 수 있을까. 실험에 많이 사용하는 쥐 역시 숙고를 한다. 심지어 구더기도 어떤 결정을 내리기 전에 곰곰이 생각을 한다니 ‘숙고’, 그 자체를 인간의 특성으로 보기는 곤란해보인다. 그럼 흔히 얘기하는 ‘도구 사용’은 어떨까. 인간과 가장 가까운 존재라는 침팬지는 물론이거니와 까치도 먹이를 낚기 위해 철사를 구부릴 줄 안다니 도구를 이용한다는 것을 결정적인 차별점으로 내세우는 것도 정확하지는 않은 듯하다. 동정심, 애정, 증오와 같은 감정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은?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은 느껴본 적이 있을그럼 대체 인간이 ‘만물의 영장’으로서 특별히 여겨지는 이유를 어디서 찾아야 하는 것일까.
“우리가 지금 행동하는 것은 우리의 뇌가 그렇게 생겨먹었기 때문입니다.” 이게 무슨 속 시원하지 않는 대답이란 말인가. 그러나 저명한 뇌신경학자인 마이클 가자니가(70) 캘리포니아대(샌터바버라 캠퍼스) 교수는 실제로 이렇게 말한다.
●인간과 동물의 차이는 뇌신경의 복잡성과 연결
‘인간이 다른 동물과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 ‘왜 인간을 유일무이한 존재로 보는지’에 대한 연구를 해온 가자니가 교수는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열쇠를 ‘뇌’에서 찾고, ‘왜 인간인가?’(원제 Human:The Science behind What Makes Us Unique, 정재승 감수, 박인균 옮김, 추수밭 펴냄)에서 다른 동물과 질적으로 다른 뇌를 증명해낸다.
저자는 인간과 가장 가까운 친척이라는 침팬지의 사회성, 정보전달, 감정교류 등을 비교하면서 비교적 쉬운 방법으로 뇌과학을 풀어내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어 사회적 관계, 윤리성, 예술, 직관, 특별한 감정, 이원론적 사고 등 수많은 요소와 ‘뇌’를 연관시켜 인간의 유일성을 설명한다.
저자가 말하는 인간과 동물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복잡성’과 ‘연결’이다. 인간의 뇌신경 시스템에는 모든 모듈(module)이 세밀하고 복잡하게 연결돼 조정된다. 모듈 구조 경로는 뇌 전체에서 일어난 분화로 만들어지며, 숙고와 억제를 가능하게 하고 자기인식과 의식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감정과 직관도 어떤 행동을 두뇌에 저장했다가 외부 자극을 받으면 자동적으로 즉시 표출시키는 인간 뇌의 특징이다. 특히 인간의 뇌에는 ‘윤리 모듈’이라는 독특한 부분이 있어 대부분의 인간이 살인, 절도 등의 행동을 자연스럽게 꺼리게 된다는 것이다.
또 인간은 즐거움과 행복, 동정, 슬픔, 창피함, 수치심, 죄책감, 혐오감, 경멸 같은 복잡미묘한 감정을 구분할 줄 안다. 애완동물에게도 분명 감정은 있다. 그러나 슬픔과 동정의 차이를 구분하는 것은 인간뿐이다. 예술 행위나 작품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미소를 머금게 되는 것도 “뇌가 예술적인 자극을 쉽게 처리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뇌가 ‘그렇게 생겨 먹었다’는 것은 결국 “독특한 모듈들로 구성된 인간의 뇌가 다양한 자극에 반응해 수준 높은 인간의 행동을 할 수 있게 만든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인간다운 로봇’을 제작하는 연구를 거듭하지만 인간의 의식을 그대로 반영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길은, 그렇기 때문에 아직 멀다. 로봇이 인간처럼 보고 듣고 움직여도, 진정 인간처럼 섬세하게 반응할 수 있는 로봇이 나오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인간의 감정과 반응을 코드화해서 로봇에게 입력했다고 해도 진짜 감정을 드러낼 것이라는 데 회의적이다.
●인간의 경이로움 재발견
저자는 “그러니까 인간이 가장 우월하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어쩌면 인간의 능력은 인간을 가장 과소평가하는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보다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더 나아지기를 소망하거나 상상하는 능력만큼은 매우 뛰어나다. 본래 모습보다 나아지기를 열망하는 종은 없다. 아마도 인간만이 그럴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저자의 말은 책을 통해 인간이 얼마나 경이로운 존재인지 깨닫기만 해도 충분하다는 겸손함으로 해석해도 좋을 듯하다.
‘뇌신경학’을 다룬 책이니 얼마나 어려울까 하며 미리 두려워 마시라. 저자는 매 장마다 친절하게 결론을 내려주고 ‘생각해보자.’로 시작하는 다양하고 쉬운 가정을 들어주며 조근조근 설명하듯 풀어놨다. 간혹 집중력과 해독력을 필요로하는 부분도 있지만 결국 ‘인간의 뇌는 그렇게 타고났고 진화했다.’는 뜻이다. 2만 5000원.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그래픽 이혜선기자 okong@seoul$co$kr
2009-11-14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