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 머금고 예물반지 맡기던 곳은 옛말… ‘중고명품 숍’ 탈바꿈

눈물 머금고 예물반지 맡기던 곳은 옛말… ‘중고명품 숍’ 탈바꿈

입력 2009-11-07 12:00
수정 2009-11-07 1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절박한 사람들의 ‘마지막 금융’ 전당포의 진화

일제 강점기인 1894년부터 시작해 100년 넘게 서민금융의 창구로 명맥을 유지해온 전당포. 일제시대 때만 하더라도 제칠천국(최고의 천국)으로 불려온 전당포가 쇠락의 길로 접어든 지는 오래됐다. 하지만 아직도 전당포는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요긴한 곳이다. 요즘은 ‘명품 전당포’ ‘온라인 전당포’ 등으로 시류에 따라 진화하는 모습이 목격된다.

이미지 확대
한때 서민생활의 동반자였던 전당포가 점점 명맥을 잃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은 전당포의 문턱을 넘나들고 있다. 사진은 서울 종로3가에 있는 한 전당의 모습.
한때 서민생활의 동반자였던 전당포가 점점 명맥을 잃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은 전당포의 문턱을 넘나들고 있다. 사진은 서울 종로3가에 있는 한 전당의 모습.


한때 서민생활의 동반자였던 전당포가 점점 명맥을 잃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은 전당포의 문턱을 넘나들고 있다. 사진은 서울 종로3가에 있는 한 전당포.

●“금값 오른 뒤 90%쳐줘도 안 맡겨”

6일 서울 종로3가의 한 전당포. 이곳은 종로통에서 오래된 전당포 중 하나다. 영어학원이나 식당 간판에 가려 눈에 잘 띄지 않지만 1980년대만 해도 전당포는 골목마다 하나씩 있었다. 사장 이모(45)씨는 “종로와 강남은 아직 전당포가 많이 남아 있지만 요즘 워낙 장사가 안 돼 접는 사람들이 늘었다.”고 푸념했다.

경제위기가 오면 장사가 잘될 거라는 통념과 달리 살림이 어려워지면 전당포도 덩달아 어려워진다.

“전당포에는 반드시 물건을 나중에 찾겠다는 희망이라도 있는 사람들이 온다. 정말 절박하면 푼돈을 받고 팔아버린다.”고 이씨는 전했다. 주로 취급하는 물건은 귀금속과 시계. 최근 금값이 폭등하면서 금은 아예 찾아보기도 힘들다. “금은 1개월 이자만 받아도 본전을 뽑기 때문에 감정가를 20%나 더 쳐줘서 90%에 부르는데도 사람들이 안 맡긴다.”고 한다.

거슬러 올라가면 1998년 외환위기 때 금모으기 운동이 번지면서 전당포의 주력 품목인 금붙이가 자취를 감추고 2000년대 들어 신용카드 사용이 활성화되면서 서민들의 발길도 끊기기 시작했다. 1999년 전당포영업법이 폐지되고 등록제로 바뀌면서부터는 현황조차 파악할 수 없다.

대부업법의 규제를 받으면서 전당업 분류가 아예 사라진 탓이다. 살림이 어려워지는 만큼 손님들의 사연도 절절하다.

“얼마 전에는 회사가 도산된 단골손님 한 분이 왔다. 살림을 싹싹 긁어 예물 반지를 맡기고 30만원을 받아갔다. 그마저도 이자를 내지 못해 못 찾아갔다. 귀중한 물건인 것 같아 갖고 있었는데, 늦게서야 오더니 ‘팔지 않아줘서 고맙다.’며 눈물을 글썽거리더라.”고 말했다.

●대학생·노인 데이트비용 융통 많아

전당포 살림도 양극화됐다. 종로지역은 데이트 비용이나 술값으로 10만~20만원을 융통하려는 대학생, 노인들이 많이 찾는다. 강남지역은 명품 백이나 고급 시계 등이 유통된다.

이씨의 가게처럼 전통을 지키는 전당포도 있는가 하면, 세월의 흐름 따라 진화하는 전당포도 있다.

강남 일대 명품 전당포로 변신

요즘 전당포의 대세는 명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명품 전당포’다. 압구정동과 청담동 일대에 ‘중고명품숍’ 등의 이름을 내건 곳도 있고, 체인점으로 영업하는 곳도 있다. 전국 8개 가맹점을 갖고 있는 ‘캐시캐시’가 대표적이다.

일산점 김미경 대표는 “명품 거래의 경우 95%가 위탁 판매고, 전당업은 5%가량”이라면서 “급전보다는 명품을 바꿔 들고 싶은 30~40대 여성들이 많이 찾는다.”고 전했다. 물건과 신분증 복사본을 보내면 돈을 보내주는 ‘온라인 전당포’도 속속 생겨나고 있다.

글ㆍ사진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09-11-07 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