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출산 복지제도 나빠”
임신 2개월째인 양모(29)씨는 첫아이를 가진 기쁨보다 직장에 대한 걱정이 앞선다. 90일간의 출산휴가와 30일간 육아휴직 제도가 있지만 둘 다 사용한 사람이 전혀 없어 눈치만 보고 있다. 양씨는 9일 “직장 선배 대부분이 출산한 뒤 주어진 휴가 기간보다 빨리 복귀하고 있다.”면서 “맞벌이 부부라 아이를 낳더라도 돌봐 줄 사람이 없어 고민”이라며 어두운 표정을 지었다.10일은 올해로 네 번째 맞는 임산부의 날이다. 출산율이 해마다 낮아지면서 저출산이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지자 정부는 2006년 임신기간을 의미하는 숫자 ‘10’이 겹치는 10월10일을 임산부의 날로 지정했다.
하지만 인터넷 주부 포털 사이트인 아줌마닷컴에서 임산부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6%는 이날을 모르고 있었다.
임산부와 신혼부부들은 이에 대해 “임산부의 날을 아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아이를 낳고 싶어도 낳을 수 없는 사회 현실에 대한 인식이 더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아줌마닷컴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임산부 대다수가 양씨와 같은 고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임산부 복지 제도가 잘 되어 있는가.’를 묻는 항목에 응답자의 71%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출산 이후 추가 출산에 대한 계획’에는 58%가 ‘더 낳지 않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첫아이를 낳은 직장인 이희경(30)씨는 “첫아이를 낳고 회사에 복귀하기까지 힘든 시간을 겪었다.”면서 “직장 여성이 두 번의 출산 휴가를 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고 토로했다.
출산과 함께 직장에서 퇴사한 서모(31)씨는 “지자체별로 지원하는 출산장려금 제도는 들쭉날쭉할 뿐만 아니라 실효성이 낮다.”면서 “출산과 육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바뀌지 않는 한 출산율은 계속 낮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09-10-1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