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몽유도원도 유감/김성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몽유도원도 유감/김성호 논설위원

입력 2009-10-06 12:00
수정 2009-10-06 1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현존하는 조선회화 최고의 걸작’ ‘조선조 최대의 산수화’ ‘한국미술사 불후의 명작’…. 지금 우리가 갖고 있지 못한 우리 문화재 중 ‘몽유도원도’만큼 찬란한 수식어가 붙는 것도 드물다. 안평대군이 꿈속에 본 도원(桃源) 선경의 감회를 못 이겨 궁중화가 안견에게 주문해 탄생했다는 몽유도원도. 3일 만에 완성한 것으로 전해지는 몽유도원도는 이름만큼이나 몽롱한 역사를 갖는다.

수양대군과의 권력다툼에 말려 희생된 안평대군. 그가 꿈꾸고 이루려 했던 세상은 무엇이었을까. 그림으로 볼 때 몽유도원도는 도연명의 ‘이상향’류 도화원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왼쪽 하단부와 오른쪽 상단부에 현실세계와 도원세계를 그려 넣어 묘한 조화를 이루는 작품. 사가들의 추측대로 피비린내 나는 정란을 벗어나 이상향 안착을 간절히 바랐던 걸까. 어쨌든 당대 최고의 문사 21명이 일일이 붙인 찬문만 보더라도 당시 이 그림이 얼마나 큰 파장을 일으켰을지 알 수 있다.

많은 이들이 그저 교과서 정도에서 사진쯤으로 대면한 몽유도원도가 어떻게 일본으로 건너갔는지는 알 수 없다. 막연히 계유정난 이후로 추정할 뿐, 이후 1893년 일본 가고시마에서 발견됐고 이런저런 경위를 거쳐 1950년대 초 일본 나라현 덴리(天理)대가 사들여 지금까지 소장하고 있다는 게 알려진 전부이다. 일본국보로 지정됐다가 지금은 중요문화재로 귀중한 대접을 받고 있다. 1950년대 어떤 이유에선지 한국인 고미술상이 이 작품을 부산으로 들여왔다는데, 고미술계나 학계에선 당시 이 불후의 명작을 우리 손에 넣지 못한 것을 두고두고 안타까워한다.

몽유도원도 국내 전시에 연일 관람객들의 장사진이 이어지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에 모습을 드러낸 몽유도원도. 반출경위가 명확하지 않아 반환요구조차 할 수 없는 몽유도원도의 이번 대여전시를 놓고 덴리대 측은 “더이상 전시는 없다.”고 했단다. 우리에게서 가져간 이웃집 그림을 내 안방에 걸고 그림의 떡처럼 바라봐야 하는 심정. 하긴 몽유도원도의 기구한 운명을 닮은 우리 문화재가 한둘일까. 그나마 5시간씩 기다려 몽유도원도와 만나려는 관람객들의 장사진을 보는 것만으로 위안을 삼아야 할까.

김성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09-10-06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1월 5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이 미국 국민은 물론 전세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종 여론조사 격차는 불과 1~2%p에 불과한 박빙 양상인데요. 당신이 예측하는 당선자는?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