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늘한 가을바람이 옷깃에서 일어난다. 영 물러날 것 같지 않던 여름이 가고 있다. ‘지난여름은 위대했다.’고 독일의 한 시인은 노래했지만 이제 한번쯤 작열하던 여름의 추억을 돌이켜 볼 시간이다.
지난 8월 초 필자는 중국 작가협회초청으로 서북쪽 칭하이성에서 개최된 제2회 국제시인대회에 다녀왔다. 세계 43개국에서 50명의 시인이 참가하고 중국에서 200여명의 시인이 참가한 대규모 국제시인대회였다. 대회의 주제는 ‘물질문명을 초월하는 정신의 힘’이었다. 공식 초청된 시인들의 주제 발표에 이어 각자 시 2편을 낭송하는 시간이 있었으며 서북지역 최대의 청정자연호수 칭하이 호숫가에서 음악제를 갖는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그런데 황하의 발원지 칭하이호에서 왜 이와 같은 대규모 국제시인대회를 여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필자의 머리를 맴돌았다. 동북지역 길림성이 주관하는 행사를 칭하이에서 개최한다는 문구에서 동북공정에 이어 서북공정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인상을 받았다. 동북과 서북을 잇는 광대한 문화적 역사적 영토확장사업을 전개하는 그들의 노력이 무서울 정도였다. 당나라가 고구려의 후예 고선지 장군을 내세워 이 지역을 평정하려 했던 그들의 영토확장 정책이 아직도 집요하게 계속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8월말에는 다시 재미시인협회 초청으로 로스앤젤레스를 다녀왔다. 때마침 산불이 번져 세상이 온통 소란스러운 가운데서도 70여명의 청중이 운집하였는데 대략 50세 전후이거나 60세가 넘은 분들이 상당수였지만 강의에 집중하는 그분들의 열기는 뜨거웠다. 외국에서 한국어로 시를 쓰면서 시인으로 살고자 하는 그분들의 열기는 대체 어디서 오는 것일까. 미국 생활 30여년에 가까운 이들이 왜 아직도 모국어로 시 쓰기를 멈추지 못하는 것일까.
그들의 관심사는 한국의 시가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나의 시가 어떻게 한국에서 평가될 것인가 하는 것들이었다. 또한 한국의 정치상황, 유명한 운동선수의 경기실적, 한국에서 쏘아올린 우주선, 한국에서 방영되는 드라마 등등 민감하게 돌아가는 한국에 대한 거의 모든 정보도 중요한 관심사였다. 그럼에도 좋은 시를 쓰기 위한 그분들의 노력이 너무 순수한 까닭에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표현된 그분들의 진솔하고도 소박한 시들을 과소평가할 수는 없었다. 한국어로 시를 쓸 때 그분들은 아직도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자각하고 공감하는 세대인 것이다.
칭하이 시인대회에서 필자는 ‘시의 힘은 미약한 것이지만 시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시는 한 방울의 물방울 같은 것이어서 아무 힘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한 방울의 물이 칭하이 호수를 형성하고 다시 황하로 흘러가는 계곡과 산맥을 지나가면서 거대한 인류의 문명사를 만드는 것이라는 것이 주제 발표의 요지였다.
인류사를 돌이켜 볼 때 언어와 문자는 사람을 움직이고 역사를 움직이는 문화적 동력을 가진 것이었다. 재미시인들이 아직도 외국에서 한국어로 시를 쓰고 있는 것도 그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시와 그 시를 표현하는 언어 문자 속에 들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거대한 중국의 변방에서 한국이 독자적인 역사를 보존하고 오늘날 독립국가로서 경제발전을 이룩한 것도 언어와 문자의 힘 때문일 것이다. 정치는 국민을 분열시키지만 문학은 국민을 하나로 통합시킨다는 말은 결코 우연한 말이 아니다.
한글날이 가깝다. 문자가 없는 외국의 한 나라에서 한글을 자기네 공식 문자로 채택했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우리말과 글을 갈고 다듬어 세계적인 언어 문자로 발전시킬 수 있는 동력은 문학의 힘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며 한국 문학이 세계인을 감동시킬 수 있을 때 우리나라도 문화적 자긍심을 지닌 선진적 경제대국이 될 것이다.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
최동호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
그런데 황하의 발원지 칭하이호에서 왜 이와 같은 대규모 국제시인대회를 여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필자의 머리를 맴돌았다. 동북지역 길림성이 주관하는 행사를 칭하이에서 개최한다는 문구에서 동북공정에 이어 서북공정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인상을 받았다. 동북과 서북을 잇는 광대한 문화적 역사적 영토확장사업을 전개하는 그들의 노력이 무서울 정도였다. 당나라가 고구려의 후예 고선지 장군을 내세워 이 지역을 평정하려 했던 그들의 영토확장 정책이 아직도 집요하게 계속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8월말에는 다시 재미시인협회 초청으로 로스앤젤레스를 다녀왔다. 때마침 산불이 번져 세상이 온통 소란스러운 가운데서도 70여명의 청중이 운집하였는데 대략 50세 전후이거나 60세가 넘은 분들이 상당수였지만 강의에 집중하는 그분들의 열기는 뜨거웠다. 외국에서 한국어로 시를 쓰면서 시인으로 살고자 하는 그분들의 열기는 대체 어디서 오는 것일까. 미국 생활 30여년에 가까운 이들이 왜 아직도 모국어로 시 쓰기를 멈추지 못하는 것일까.
그들의 관심사는 한국의 시가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나의 시가 어떻게 한국에서 평가될 것인가 하는 것들이었다. 또한 한국의 정치상황, 유명한 운동선수의 경기실적, 한국에서 쏘아올린 우주선, 한국에서 방영되는 드라마 등등 민감하게 돌아가는 한국에 대한 거의 모든 정보도 중요한 관심사였다. 그럼에도 좋은 시를 쓰기 위한 그분들의 노력이 너무 순수한 까닭에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표현된 그분들의 진솔하고도 소박한 시들을 과소평가할 수는 없었다. 한국어로 시를 쓸 때 그분들은 아직도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자각하고 공감하는 세대인 것이다.
칭하이 시인대회에서 필자는 ‘시의 힘은 미약한 것이지만 시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시는 한 방울의 물방울 같은 것이어서 아무 힘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한 방울의 물이 칭하이 호수를 형성하고 다시 황하로 흘러가는 계곡과 산맥을 지나가면서 거대한 인류의 문명사를 만드는 것이라는 것이 주제 발표의 요지였다.
인류사를 돌이켜 볼 때 언어와 문자는 사람을 움직이고 역사를 움직이는 문화적 동력을 가진 것이었다. 재미시인들이 아직도 외국에서 한국어로 시를 쓰고 있는 것도 그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시와 그 시를 표현하는 언어 문자 속에 들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거대한 중국의 변방에서 한국이 독자적인 역사를 보존하고 오늘날 독립국가로서 경제발전을 이룩한 것도 언어와 문자의 힘 때문일 것이다. 정치는 국민을 분열시키지만 문학은 국민을 하나로 통합시킨다는 말은 결코 우연한 말이 아니다.
한글날이 가깝다. 문자가 없는 외국의 한 나라에서 한글을 자기네 공식 문자로 채택했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우리말과 글을 갈고 다듬어 세계적인 언어 문자로 발전시킬 수 있는 동력은 문학의 힘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며 한국 문학이 세계인을 감동시킬 수 있을 때 우리나라도 문화적 자긍심을 지닌 선진적 경제대국이 될 것이다.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
2009-09-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