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 패션 선구자 日 유니클로 “韓 최고 브랜드 되겠다”

패스트 패션 선구자 日 유니클로 “韓 최고 브랜드 되겠다”

입력 2009-09-23 00:00
업데이트 2009-09-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 유행을 앞서가는(?) 한국의 아기들은 엄마가 해외 구매대행을 통해 구입한 폴로, 갭, 짐보리 등 브랜드의 옷을 입는다. 평균 배송일은 10일 정도에 관세, 수수료 등이 붙지만 한국의 유아복보다 값이 저렴하고 디자인도 뛰어나다는 것이 구매대행을 이용하는 엄마들의 한결같은 반응이다.

이미지 확대
한국의 아이들은 이제 태어날 때부터 패스트 패션의 소비자다.

 패스트 패션, 혹은 SPA(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라고 불리는 글로벌 패션 브랜드들이 한국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패스트 푸드에서 착안해 빠른 제품주기와 저렴한 가격, 독특한 매장 인테리어 등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브랜드를 일컫는 패스트 패션은 최첨단 유행을 싼 값에 제공한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미국의 갭, 스페인의 자라, 일본의 유니클로, 스웨덴의 H&M 등이 있다.

 유니클로의 야나이 다다시 사장은 23일 2005년 처음 유니클로 매장을 서울에 연 이래 세번째로 한국을 찾아 “일본에서 팔리지 않는 옷은 전세계에서 팔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중국의 저렴한 인건비와 일본의 뛰어난 섬유 가공 기술을 결합시킨 유니클로의 폴라폴리스 소재의 후리스, 브라톱, 히트텍 등의 제품은 매년 한국에서만 60% 이상의 판매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패스트 패션의 대표 주자인 유니클로는 지난해 세계를 강타한 금융위기를 맞아 기록적인 성장과 주가 상승을 기록했고, 다다시 사장은 이를 바탕으로 대대적인 매장 확대를 선언했다.현재 한국에 33곳이 있는 유니클로 점포를 2012년까지 100곳으로 늘려 한국 최대의 캐주얼 브랜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유니클로의 성장으로 다다시 사장은 일본 최대의 부호가 됐지만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지사 대표나 일본인 부사장보다 훨씬 허리굽혀 인사하고 모든 질문에 직접 답하는 열의를 보였다.

 광고를 거의 하지 않았던 유니클로는 이달 처음으로 한국 공중파에서 브랜드 광고를 선보였고 모델이자 배우로 활약중인 김민희를 모델로 기용해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캐주얼 브랜드인 베이직하우스, 후아유 역시 패스트 패션에 열광하는 세계인의 소비 기호를 놓치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후아유 등의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경영해 왔던 이랜드는 유니클로를 벤치 마킹해 ‘SPAO’라는 브랜드를 10월에 내놓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다시 사장은 이랜드의 패션 전략에 대해 “한국에서도 비슷한 개념의 브랜드가 생기는 것을 환영한다. 유니클로, 자라 등이 오래된 패션 업계를 변화시키는 것에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

 일주일에 2번 이상 신상품을 출시하는 글로벌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의 공세 속에서 한국의 패션 브랜드는 ‘한국인의 체형에는 한국 옷이 가장 잘 맞는다’는 신토불이식 전략만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을 것이다.

인터넷서울신문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