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에 대한 배려 느껴보시길
성공한 페미니스트 작가 아가테는 정계 진출을 위해 고향 도시를 방문한다. 고향의 집을 지키는 여동생 플로랑스는 언니의 방문이 그리 반갑지 않다. 작년에 세상을 떠난 엄마가 언니만 사랑했던 까닭에, 그녀는 어린 시절의 앙금을 고스란히 간직한 채 산다. 아가테의 방문 소식을 접한 다큐멘터리 감독 미셸과 카림은 ‘성공한 여성에 관한 작품’을 만들고자 그녀에게 접근해 승낙을 얻어낸다. 이혼의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한 미셸은 유부녀인 플로랑스와 은밀히 사귀고 있고, 아가테 자매의 집에서 가정부로 일하는 미무나의 아들인 카림은 버릇없고 약아빠진 자매를 달갑지 않게 대한다.아녜스 자우이와 장 피에르 바크리 부부가 세 번째 작품 ‘레인’으로 한국 관객의 마음을 또 다시 적시려 한다. 두 사람은 이번에도 다양한 인물들의 얼기설기 꼬인 관계를 빌려 현대인의 도덕과 사회구조에 관한 세련된 풍자와 유머를 구사한다. 비가 오거나 흐린 날씨가 계속될 경우, 어떤 사람은 현실의 불만을 날씨 탓으로 돌리곤 한다. 하지만 날씨에 달리 무슨 죄가 있겠나, 엉뚱한 대상을 원망할 필요는 없다. ‘레인’은 상대방을 향한 불만족과 가슴 속에 묻어둔 답답함의 원인을 인물 간의 관계 짓기에서 찾는다.
문화적 취향과 활동을 한 개인이 속한 사회계급과 연결한다는 점에서 자우이와 바크리의 영화는 프랑스의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의 이론과 무관하지 않다. 더욱이 ‘레인’의 한 장면은 현대사회를 지배계급, 중간계급, 피지배계급으로 나눠 분석한 부르디외의 계급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아가테와 미셸, 카림은 영화를 찍다 비를 피해 농가를 찾는다. 정치인을 꿈꾸는 여자와 그녀에게서 뭔가를 뽑아내려는 두 작자와 농업의 몰락으로 힘겹게 사는 농부가 나란히 앉아 있는 형국을 부르디외가 본다면 미소를 지을지도 모른다.
취향과 문화로 구분지어진 세 계급은 각 계급의 세계관과 정치관을 그대로 드러낼 따름이다. 농부는 정부의 농정 실패를 놓고 분개하지만, 정작 정치인을 꿈꾸는 아가테는 별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지배계급인 아가테에게 화를 입힌 두 감독 역시 마음을 졸이느라 농부의 목소리 앞에서 딴청을 피우기는 마찬가지다. 그대로 계속됐다간 사회의 불평등과 모순이 영영 풀리지 못할 지경이다. 하지만 자우이와 바크리는 자신들의 도구인 영화를 사회적 투쟁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까지 나아가진 않는다.
프랑스에서 ‘레인’과 같은 해에 개봉한 걸작 ‘모던 라이프’에도 유사한 농가의 장면이 나온다. 다큐멘터리 감독 레이몽 드파르동이 20여년의 세월을 바쳐 완성한 ‘농부의 기록 3부작’의 마지막 편인 ‘모던 라이프’에서 농부들은 대체로 가난하지만 계급 격차를 덜 느끼고, 신중하나 꾸밈없이 행동하며, 근면하면서 건강한 존재임이 드러난다. ‘레인’에서 그들과 가장 가까운 인물은 미무나다. 권력의 중심에 위치한 아가테가 ‘배려’라는 단어를 어렵사리 기억해내곤 실천하기가 버거웠던 것과 반대로, 성적·인종적·계급적으로 가장 억압받는 존재인 미무나는 충실한 삶으로 타인을 이해하고 받아들인다. ‘타인에 대한 배려’, 그것이 바로 ‘레인’이 제시하는 알맹이다.
원제 ‘Parlez-moi de la pluie’, 감독 아녜스 자우이, 9일 개봉.
영화평론가
2009-07-10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