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만 조문객 목소리 정부 반응없어 놀라워”

“수십만 조문객 목소리 정부 반응없어 놀라워”

입력 2009-06-05 00:00
수정 2009-06-05 0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87년 시국성명 초안 작성 이문영 高大 명예교수

“교수들의 시국성명이 확산되고 있는데 대통령은 ‘흔들리지 말라.’고 당부하더군요. 촛불시위와 노무현 전 대통령 영결식에 모인 수많은 인파가 하는 말에 정부가 전혀 반응하지 않는 것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1987년 4월22일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국성명의 초안을 작성해 동료교수들과 함께 발표한 이문영(82) 고려대 명예교수는 최근 확산되는 대학교수들의 시국선언을 지켜보며 4일 이같이 말했다. 당시 이 교수 등 고대 교수들의 시국성명은 전국 48개 대학의 교수와 의사, 한의사 등 80여개 단체 6000여명의 성명을 이끌어 내는 도화선이 됐고 결국 대통령 직선제를 관철시키는 촉매가 됐다. 이 교수는 성명서 초안을 직접 작성하는 등 시국성명서가 세상에 나오기까지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미지 확대
이문영 고려대 명예교수
이문영 고려대 명예교수
1987년 6월 당시 이 교수는 동료 19명과 함께 학교 본관 앞 잔디밭에서 연좌시위를 벌이던 중 앞으로 나서 “전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학생·시민들의 시위는 4·13호헌조치 철회 및 민주개헌 촉구를 외면한 채 일방적으로 정치 일정을 강행하고 있는 정부·여당의 비민주적 처사에 대한 저항”이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낭독했다.

이 교수는 “당시에는 옳은 말을 하면 학교에서 쫓겨나고 감옥에도 갔지만(이 교수는 7년 동안 세 차례에 걸쳐 해직과 복직, 세 차례의 수감생활을 겪었다) 지금은 그렇지는 않다.”면서 “그러나 국민들이 선택했던 지난 10년의 정권을 ‘잃어버린 10년’이라고 거침없이 표현하는 것은 어찌 보면 군사정권의 그늘을 잇겠다는 얘기처럼 비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시위꾼 색출 같은 부분에 민감할 것이 아니라 다수의 목소리에 좀더 민감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까마득한 후배 교수들의 시국선언 발표에 대해 “잘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면서도 “어떤 운동이든지 ‘꾼’이 되면 진실성이 사라지고 실패하기 쉽다. 교수들이 양심의 소리를 낸 후 정치권 등으로 나가지 않고 곧바로 실험실이나 강의실로 돌아갈 수 있는 것은 중요한 가치”라고 당부했다.

하지만 이 교수는 이번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제2의 6월 항쟁 분위기를 형성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가 계기는 됐지만 4·19혁명의 김주열 열사, 6·10항쟁의 이한열·박종철 열사 등 국민을 하나로 모았던 구심점이 나올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교수들의 시국성명이 힘을 내기 위해서는 정치인 같은 ‘꾼’들이 빠져줘야 한다.”면서 “교수들의 주장에 국민들의 순수한 양심이 결합하면 어느 정부든 이를 귀담아 들을 수밖에 없다.”고 이 교수는 강조했다.

박건형 유대근기자 kitsch@seoul.co.kr

[다른기사 보러가기]

☞北 미사일은 럭비공… 어디 떨어질지 몰라

☞서러운 10급 공무원

☞에어프랑스, 탑승객 가족에 “희망 버려라”

☞‘울고 싶어라’의 가수 이남이씨…”이외수 따라갔다가”

☞‘수도권·30대·女’ 불법사채 피해 가장 많아

☞‘뜨거운 감자’ 정수근 복귀논란
2009-06-05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