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회복의 열쇠는 은행 건전성·실업률”

“경기 회복의 열쇠는 은행 건전성·실업률”

입력 2009-06-03 00:00
업데이트 2009-06-03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거시경제학자 사전트 美 뉴욕대 교수

토머스 사전트(66) 미국 뉴욕대 교수는 2일 “민간은행의 여신 기능 회복과 실업률 하락이 경기 회복의 열쇠”라고 강조했다.

전미(全美) 경제학회장을 지내는 등 저명한 거시경제학자인 사전트 교수는 이날 한국은행 주최로 열린 ‘신용위기에 관한 논의와 정책적 시사점’ 주제의 국제콘퍼런스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는 세계경제의 더블딥(침체→회복→침체)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불확실성이 워낙 많다.”면서 확답을 피하면서도 “대공황 시기에도 주가와 생산지표가 반등했다가 다시 침체되곤 했다.”며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이어 “정부 주도의 여신 공급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민간 주도의 여신 공급으로 바뀌어야 하고 실업률도 떨어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사전트 교수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누차 디플레이션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것이고 금리도 상당 기간 낮은 상태를 유지하겠다고 얘기하지만 시장이 (그 말을)믿는지는 모르겠다.”면서 “중앙은행이 과거보다 긴 만기의 자산을 사는 등 전례없는 통화정책 조치를 취하고 있어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공존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2009-06-03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