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에서 벌어 밖에서 까먹은 영화 ‘디워’

안에서 벌어 밖에서 까먹은 영화 ‘디워’

입력 2009-05-22 00:00
업데이트 2009-05-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영화 사상 최초로 미국 전역에서 개봉된 심형래 감독의 ‘디워’가 막대한 마케팅 자금을 쏟아붓고도 볼품없는 흥행 성적을 거둔 것으로 확인됐다.

이미지 확대
영화 ‘디 워’
영화 ‘디 워’


최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전자공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7년 개봉한 영화 ‘디워’의 제작사 영구아트가 올린 미국 극장시장 매출은 2007년 28억여원,2008년 12억여원으로 모두 40억원에 그쳤다.미국에서 2277개 상영관에서 개봉된 것과 마케팅 비용으로 1500만~2000만달러를 쏟아부었는데 사실상 참담한 패배를 기록한 것이다.

 반면 500여개의 상영관을 잡은 국내에선 2007년과 이듬해 각각 233억여원과 16억여원으로 모두 249억여원의 매출을 기록했다.상영관 매출만 따졌을 때 4배가 넘는 수의 미국 상영관에서 올린 매출이 국내 극장 매출의 6분의 1밖에 되지 않은 것이다.

 ’디워’는 2007~2008년 극장 수입 외에 미국 시장에서 소니의 ‘부가판권’으로 76억여원을 벌어들이고 아시아 시장에선 부가판권으로 10억원 가량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에 따르면 ‘디워’가 국내·외에서 올린 매출 누적 총계는 384억여원이었으며,당기순이익은 두 해를 합쳐 20억여원이다.또 2007년은 34억여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지난해에는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영구아트는 이 같은 매출 부진 때문에 2003년 3월부터 14차례에 걸쳐 받은 영화제작 선수금 322억여원 중 지난해 112억원만 변제한 상태로,나머지 금액을 빚으로 떠안고 있다.

 앞서 지난 1월 영구아트에 투자했던 시멘트 제조업체 S사가 돈을 제때 갚지 못한 심 감독을 사기 혐의로 고소했지만,최근 검찰로부터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하지만 아직 15억원은 갚지 못했다.검찰은 ‘디워’가 투자금 300억여원 가운데 130억여원만을 벌어들여 170억여원의 적자를 봤다고 밝혔다.이는 ‘디워’가 많은 돈을 벌어들였을 것이라는 인식을 뒤집는 결과다.

하지만 영구아트측은 “자료에는 2차 판권으로 올린 수입 등이 포함돼 있지 않다.”며 “처음부터 ‘디워’의 수익구조는 5년을 내다보고 계획했다.그런 구조 때문에 실적은 현재도 올라가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영구아트는 현재 200억여원을 투자해 차기작 ‘라스트갓파더’를 제작 중이다.

인터넷서울신문 맹수열기자 guns@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