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새터민→북한이탈주민’ ‘집창촌→성매매업소→성매매집결지’
한국수자원공사는 최근 경인운하의 공식 명칭을 ‘경인 아라뱃길’로 바꿨다. 공사 측은 “‘아라’는 아리랑 후렴구 ‘아라리오’에서 따왔으며 한강의 옛 이름인 ‘아리수’를 연상시킨다.”고 밝혀 민족정서와 옛말을 반영했음을 강조했다. 하지만 정작 공사 자신의 명칭은 영어 표기인 ‘K-water’로 변경했다. 앞뒤가 맞지 않는 처사다.공공기관이 사회적·행정적 용어나 기관 명칭을 자주, 원칙없이 바꿔 국민들에게 혼동을 주고 불필요한 사회비용을 치르게 하고 있다.
통일부는 북한을 탈출한 사람들을 가리키는 공식 용어를 ‘새터민’에서 ‘북한이탈주민’으로 바꿨다. 새터민 이전에는 ‘탈북자’로 불렀다. 굳이 발음하기 힘든 용어로 바꾼 이유에 대해 통일부 관계자는 “탈북자 일부가 반대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가족부는 ‘결혼이민자가족’을 ‘다문화가족’으로, ‘납골당’은 ‘봉안당’으로 ‘화장장’은 ‘화장시설’로 각각 변경했다. 게다가 묘지와 봉안당, 화장시설 등을 통칭하는 ‘장사시설’이라는 용어까지 생겨났다. 모두 최근 수년새 이뤄진 데다 복잡해 혼동을 일으키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여성부는 ‘집창촌’을 ‘성매매업소’로 바꾼 뒤 다시 ‘성매매집결지’로 변경했다. 언론조차 이러한 변화무쌍을 따라가지 못해 아직도 성매매업소라고 부른다.
권경주 건양대 행정학과 교수는 “사회적으로 널리 쓰이는 행정용어는 지속성·명확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국민들에게 혼란을 주게 된다.”고 말했다. 정부부처 명칭의 잦은 변화는 공해 수준이다. 보건복지가족부는 보건부-보건사회부-보건복지부-보건복지가족부로 변경됐고,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부-문화체육부-문화관광부-문화체육관광부로 바뀌었다. 지방 항만청은 해운항만청-해양수산청-해양항만청으로 바뀌었는데 청사에 근무하는 직원들조차 헷갈려 한다.
●외국어 공공기관 명칭 정체성 상실 우려
물론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부처명 변경 필요성이 있을 수 있지만, ‘오십보백보’식 변경으로 혼동을 주는 예는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금도 인터넷 상에서 문화관광체육부와 혼용되고 있다.
권 교수는 “기능이 일부 바뀌더라도 부처 이름은 대표 기능을 상징하면 된다.”면서 “마치 유행병처럼 관공서 명칭이 바뀌는 것은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일”이라고 밝혔다.
공공기관이 명칭을 바꾸면서 외국어를 사용하는 것도 문제다. 서울지하철공사는 서울메트로, 서울도시개발공사는 SH공사로 각각 변경됐지만 시민들에게는 생소하게 여겨진다.
성기지 한글학회 연구위원은 “회사명에 굳이 영어를 넣어야 경쟁력이 생긴다는 주장을 받아들이기 힘들다.”면서 “특히 공기업은 ‘나라의 기업’인 만큼 정체성을 잃은 명칭 변경은 지양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09-05-1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