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성 간질환 청소년 5만명

알코올성 간질환 청소년 5만명

입력 2009-03-11 00:00
수정 2009-03-11 0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술… 술이 필요했다. 17살 지성이(가명)의 아침은 끔찍했다. 깨질 듯한 머리. 갈라지는 입술. 목이 탔다. 간절한 건 한 방울 알코올이었다. 주머니를 뒤졌다. 돈이 나오지 않았다. 미친 듯 집안을 헤집었다. “제발 천원짜리 한장만…” 그러나 집 안엔 돈 나올 구멍이 없었다. 아버지는 며칠째 집에 들어오질 않았다. 어머니는 몇년 전 술에 전 아버지와 갈라섰다. 맥이 풀려버린 지성이는 바닥에 주저앉았다. 그때 눈에 띈 건 화장대 앞 남자 스킨이었다. “알코올… ” 뚜껑을 열었다. 알싸한 알코올 냄새가 코에 스쳤다. 살 것 같았다. 한모금. 그리고 또 한모금… 빈 속에 찌릿한 쾌감이 느껴졌다. 탈 듯한 갈증이 사그라져갔다.

이미지 확대
그러다 문득 거울 속 제 모습을 바라봤다. 마른 얼굴에 충혈된 눈이었다. “나는 아마 평생 이렇게 살아야 할 거야…” 지성이 눈에 물기가 맺혔다.

지성이는 “구할 수 있는 한 매일 술을 먹었다.”고 했다. “한번에 소주 3병 정도는 거뜬히 해치웠다.”고도 했다.

전형적인 알코올 중독 증세였다. 술 먹기를 중단한 건 범죄에 연루된 이후다. 재판부는 지성이를 알코올중독 전문 병원에 치료 의뢰했다.

소년은 나락에 떨어진 이후에야 구원을 찾았다.

청소년 음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중1~고3 학생 음주 경험률은 지난 2005년 54.1%에서 2006년 59.7%, 2007년 58.6%로 늘었다. 음주자 가운데 위험 음주율도 2005년 44.2%, 2006년 47.3%, 2007년 46%였다. 술 먹는 아이들이 늘면서 청소년 알코올성 간질환자도 급증했다.

이미지 확대
2004년 4만 5428명이던 게 2007년 5만 6354명을 기록했다. 비율로는 24%증가다. 알코올성 간질환이란 통상 소주 1병을 10년 이상 매일 먹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걸로 알려져 있다.

이쯤되자 전문가들은 청소년 알코올 중독에 대해서도 경고하고 나섰다.

서울대병원 정신과 강웅구 교수는 “드러나지 않은 청소년 중독자 수가 상당히 있을 것”이라고 했다.

서울의 한 사회복지사도 “부모가 아이를 돌보지 못하는 경우 쉽게 중독으로 빠져들고 있다.”고 했다. 지성이도 같은 경우다.

현상은 명확한데 대책이 없다.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는 서로 “우리 업무가 아니다.”고 했다.

교과부는 “음주 문제 해결은 복지부가 할 일”이라고 했고, 복지부는 “교과부 도움 없이 청소년 사업을 하기는 힘들다.”고 했다.

현재 청소년 음주 상담은 청소년 상담지원센터에서 맡고 있다. 그러나 전문인력이 없고 상담 실적도 모으지 않는다. 전국 34개 알코올 상담센터도 “청소년 음주 관련 전문인력은 따로 두고 있지 않다.”고 했다.

강 교수는 “중독 소질을 가진 아이가 자유롭게 술 먹을 환경이 되면 반드시 중독자가 될 수밖에 없다.”면서 “청소년 상담·보호 방안을 마련하고 술 마실 환경을 차단해야 한다.”고 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서울신문 다른 기사 보러가기]

찻잔 속의 태풍’ 문화재관람료

슬럼독’ 감동은 딱 3분의 2

석탄→석유 만드는 ‘청정 연금술’

일본 WBC 꼼수 제 발등 찍었다?

160층 두바이타워에서 내려다보니
2009-03-11 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