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수의 종횡무진] 바둑도 이제 스포츠다

[정윤수의 종횡무진] 바둑도 이제 스포츠다

입력 2009-03-04 00:00
수정 2009-03-04 0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스포츠를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아마도 ‘육체의 힘을 소모하면서 저마다의 실력을 겨루는 행위’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스포츠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역시 강건한 육체다. 두세 개의 여분이 있음직한 박지성의 심장, 물이 오히려 저항을 느끼는 듯한 박태환의 허벅지, 다른 선수들이 3차 시기를 끝내고 헉헉거릴 때 슬슬 1차 시기에 나서는 장미란의 어깨. 아무래도 스포츠 하면 먼저 떠오르는 건 육체다.

하지만 우리는 또한 기억하고 있다. 왼손을 바지주머니에 넣은 채 가만히 서 있다가 오른손을 들어올리는 사격의 진종오 역시 정신 수련원이 아니라 바로 올림픽의 ‘격렬한’ 무대 위에 올랐다. 그러므로 반드시 ‘육체’만이 스포츠를 최종적으로 구성하는 요소는 아니다.

스포츠는 오히려 ‘비스포츠’적으로 규정해 볼 수 있다. 즉 스포츠는 온몸을 던져 힘과 기예를 겨루는 행위라기보다 얼마나 사회적으로 제도화되었는가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국내외에 다양한 대회가 존재하고 이에 대비하는 조직과 교육이라는 구조가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그야말로 ‘온몸을 던지는’ 번지 점프는 아직 스포츠가 아니다. 그것은 아직 레저다. 우리가 등산이나 낚시를 스포츠라고 부르지 않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바둑은? ‘제도’라는 관점에서 보면 바둑은 오래 전부터 스포츠의 내용을 다 갖춰 왔다. 비록 동아시아에 한정된 것이지만, 수십 년 동안 국제대회가 있어 왔고, 한·중·일 세 나라마다 탄탄한 제도와 교육이 시행돼 왔다. 비록 대국자들이 긴 시간 동안 가만히 앉아서 나무판 위에 검은 돌과 흰 돌을 번갈아 올려놓는 ‘단순한 행위’에 불과하지만, 제도와 교육과 국제 대회의 조건으로 본다면 오래 전부터 바둑은 스포츠였다.

바둑이 스포츠가 된다는 건 ‘보편의 획득’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물론 바둑은 전통의 민속놀이이며 정신 수련과 치매 예방에 좋은 수단이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자력할 수 없고 자생할 수 없다. ‘세계 보편’에 이르지 못한 민속 씨름이 얼마나 안타까운 상황에 처해 있는지를 생각해 보라. 사실상 스포츠의 내용을 다 갖춘 바둑은 일찌감치 스포츠로 공인되었어야 한다.

다행히 대한체육회는 지난달 열린 정기 대의원총회에서 대한바둑협회를 정식 가맹단체로 승인했다. 체육회의 55번째 정가맹 단체다. 이로써 대한바둑협회는 경기력 향상과 프로 선수 훈련 및 유망주 발굴 등에 따른 체육회의 지원을 받게 됐다. 진학과 병역, 포상 같은 제도의 기회도 열리게 됐다. 2010 광저우아시안게임을 위해 이창호나 이세돌 같은 ‘대표 선수’가 태릉선수촌에 입촌하는 모습도 볼 수 있을지 모른다. 물론 다른 선수들이 비에 젖은 듯이 땀을 흘릴 때, 조용히 반상 위에 돌을 올려놓는 ‘훈련’을 하겠지만 말이다. 바야흐로 바둑의 중흥기가 온 것이다.

스포츠 평론가 prague@naver.com
2009-03-04 2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