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 분노가 사라진 사회/구혜영 정치부 기자

[女談餘談] 분노가 사라진 사회/구혜영 정치부 기자

입력 2009-02-14 00:00
수정 2009-02-14 0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구혜영 정치부 기자
구혜영 정치부 기자
‘용산참사’가 발생한 지 25일째다. 공권력 행사 과정에서 사망한 사람만 6명이다. 살기 위해 망루로 올라갔던 철거민 중 일부는 죽어 내려왔다. 주검마저도 자유롭지 못했다. 아버지를 잃은 19살 아들은 세상에서 가장 슬픈 단어가 ‘아버지’라고 울먹였다.

참사 이후 만난 사람들은 다들 처연했다. 가슴에 박힌 상처를 꺼내 보이며 그렇게 불길한 세월을 달래고 있었다.

1988년 군부독재 타도를 외치며 분신한 동생을 대신해 투쟁의 한복판에 삶을 던진 한 인권활동가는 “다시 80년대로 돌아간 것 같다.”며 고개를 떨궜다. ‘용산참사’ 사망자들의 빈소가 있는 병원에서 밤을 새우느라 그렇지 않아도 검은 얼굴, 핏기라곤 하나도 없었다. 1980~90년대 반미운동의 기폭제가 됐던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부미방)의 주역이었던 한 선배는 “부미방의 불은 꺼졌지만 내 마음의 불은 아직도 꺼지지 않는다.”며 한탄했다.

지난해 촛불집회 때 구속됐던 후배 하나는 이번 ‘용산참사’ 집회를 주도했다는 혐의로 또다시 소환장을 받았다. “보석 허가를 내줬던 판사가 사표를 냈다.”며 그 후배는 머쓱해했다. 이번엔 끝까지 버텨야 한다며 선배들은 술잔을 건넸다.

새벽 2시에 영등포 후미진 노래방에서 갑자기 ‘광주출정가’ 노래가 생각이 안 난다며 자는 선배를 깨워낸 후배도 있었다. “야, 죽어라고 봄이 안 온다. 어쩌면 좋냐.”던 친구도 차디찬 겨울을 나고 있기는 매한가지였다.

엊그제 검은 모자를 눌러쓰고 연신 청계광장 주변을 걷던 한 선생님은 1987년 얘기를 꺼냈다. 사슴같이 예쁜 눈을 가졌던 고 박종철이 떠오른다며. 그래도 그때는 분노라도 오래갔다고 혼잣말을 했다. 사람이 6명이나 죽었는데 이대로 잊혀져도 되는 거냐며 두렵다고 했다. 온 사회가 무덤 같단다.

‘걸인 한 사람이 한겨울에 얼어 죽어도 그것은 우리 모두의 탓이어야 한다.’는 말이 떠오른다. 분노가 사라진 사회, 이런 꿈을 꾸는 것만으로도 죄인일 수밖에 없는 시절을 건너고 있다.

구혜영 정치부 기자 koohy@seoul.co.kr
2009-02-14 2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