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숭례문 복원과 용산 참사/장형우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숭례문 복원과 용산 참사/장형우 사회부 기자

입력 2009-02-12 00:00
수정 2009-02-12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형우 사회부 기자
장형우 사회부 기자
금이 가고, 물에 젖었던 숭례문 현판은 3월 말 원래 모습을 되찾는다. 불에 탔던 작은 나무 조각(부재) 하나도 섣불리 버려지지 않고 학예연구사들의 세심한 손길을 거쳐 제자리를 찾을 채비를 하고 있다. 대들보와 추녀를 만들기 위해 수령 100년 이상의 금강송이 강원도 삼척에서 공수됐다. 복원에 필요한 2만 2465장의 기와는 내구성 강화를 위해 손으로 만드는 전통공법으로 제작된다. 2012년 제 모습을 되찾을 숭례문 복원작업은 그 이름 그대로 ‘예(禮)를 높이 받들어(崇) 되찾는’ 과정이다.

숭례문에서 멀지 않은 용산에서 또 한 번의 참사가 벌어졌다. 6명의 사람이 숨진 채 발견됐다. 검찰 수사본부는 사고 현장의 시신들을 발견과 동시에 부검했다. 유족들은 반발했다. 수사본부장은 “범죄수사와 관련한 부검은 유족의 사전동의를 받을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유족들은 “없이 살다 가는 것도 억울한데, 너무한 것 아니냐.”며 비통해했다.

많은 의혹들이 제기됐지만 검찰은 일축했다. 용역과의 합동작전 의혹도 ‘사실무근’이라는 경찰의 해명만 받아들이다 언론이 증거를 내놓자 허겁지겁 진상을 확인했다. 처음부터 이 사건을 ‘범죄’로 규정했던 검찰이 발화원인과 책임소재를 밝히는 데 주력했기 때문이다.

유족들은 수사결과에 반발한다. 검찰이 숭례문을 복원하듯 예를 받드는 심정으로 수사에 나서 ‘작은 부재 하나라도 홀대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면 이처럼 반발이 심했을까. 행려자의 원혼마저 달래줬던 우리 민족의 예(禮)를 애초에 검찰에 기대할 바는 아니었다. 검찰은 범죄를 수사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망자의 혼이 떠도는 때문인지 참사 이후 맑은 하늘을 보지 못했다. 지난해 하루도 빠짐없이 용산 4지구에서 벌어졌던 집회를 ‘재개발은 복잡한 문제’라며 애써 외면했던 스스로가 부끄러워 하늘을 우러러 볼 수가 없어서다. ‘죽인 자 없이 죽어간’ 망자들을 위한 ‘씻김굿’이 결국 기자의 몫이 됐기 때문이기도 하다.

장형우 사회부 기자 zangzak@seoul.co.kr
2009-02-12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