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신세계’ 부산·영등포 유통대전

‘롯데-신세계’ 부산·영등포 유통대전

입력 2009-02-03 00:00
업데이트 2009-02-03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통업계의 용호상박, 롯데와 신세계가 올해 두 차례 맞붙는다.

이미지 확대
첫번째 대결은 다음달 신세계 센텀시티점이 들어서는 부산 해운대에서 펼친다. 신세계 센텀시티점이 롯데 센텀시티점과 1m도 떨어져 있지 않아 대결은 더욱 격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세계는 또 기존 영등포점과 경방필 백화점의 위탁경영을 맡아 재개장하는 8월 서울 영등포에서 롯데 영등포점과 한판 승부를 벼르고 있다. 유통업계 맞수의 자존심 대결이자 올 한 해 유통업계 진검승부를 가를 포인트인 만큼 양측은 벌써부터 공수(攻守)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아시아 최대” vs ‘부산 하면 롯데’

신세계는 우선 센텀시티점의 규모를 내세운다. 영업장 면적이 12만 6447㎡(3만 8250평)로 아시아 최대 규모라고 자랑한다. 특히 백화점뿐만 아니라 7934㎡ 규모의 스파랜드·CGV 영화관·푸드 스트리트·테마파크가 동시에 들어서는 복합쇼핑센터를 개발해 부산 상권을 휘어 잡겠다는 전략이다. 신세계는 센텀시티에 총 1조원을 투자하고 올해 4300억원의 매출을 올리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롯데 센텀시티점과 비교해 매장 면적과 예상 매출 규모가 세배나 크다.

롯데는 신세계의 공격에 내심 긴장하면서도 “부산은 역시 롯데”라면서 겉으로는 여유있는 표정을 짓고 있다. 롯데는 1995년 부산 본점 개점에 이어 2007년 12월에 먼저 센텀시티점을 열어 지역 소비자들을 충분히 다져 놓았다고 자부한다. 롯데는 특히 “부산 상권의 크기는 서울의 65% 수준이고 센텀시티가 부산 구도심과 거리가 멀어 쇼핑 수요가 크지 않다.”면서 “(신세계가)1조원이나 투자할 가치가 있는 곳인지 증권가에서도 의문을 갖고 있을 정도”라면서 신세계의 ‘과잉투자’를 꼬집었다.

지난달 말 샤넬 화장품이 롯데백화점에서 7개 매장을 철수하게 된 배경에는 센텀시티점 입점 문제가 도화선이 됐다. 샤넬 부티끄가 신세계 센텀시티점에만 입점하기로 한 것이 롯데의 신경을 건드렸다는 것이다.

●영등포 신세계점 8월 개장

두 백화점 모두 1·2층을 명품 브랜드 전용 매장으로 꾸미는 등 ‘명품 백화점’을 표방하고 있다. 롯데 센텀시티점에는 구찌, 지미추 등 39개 명품 매장이 영업 중이다. 신세계는 샤넬, 에르메스 등 45개 브랜드를 입점시킬 예정이다. 이에 질세라 롯데는 불가리, 에트로, 버버리 등을 올해 안에 추가 입점시킬 예정이어서 명품 전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오는 8월 재개장하는 신세계 영등포점도 매장 면적이 4만 3306㎡(1만 3100평)에 이르는 초대형 백화점이다. 신세계는 서울 서남부 지역의 명품수요를 끌어 들이겠다며 명품관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바로 옆에 들어서는 경방 타임스퀘어와 연계해 지역 중심 상권으로 키우겠다는 전략도 세웠다. 롯데도 수성에 나섰다. 영등포점을 지상 8층에서 10층으로 증축하고 해외 명품 브랜드와 역세권을 활용해 젊은 층이 많이 찾는 브랜드 입점을 늘리겠다는 계획으로 맞서고 있다. 품질과 서비스로 다진 기존 고객의 이탈을 막기 위해서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09-02-03 1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