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베를린의 막스 플라크교육연구소가 15년 동안 10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끝에 지혜로운 사람들이 갖는 공통점을 밝혀냈다.지혜로운 사람들은 대부분 역경이나 고난을 극복한 경험이 있었다.인생의 쓴맛을 본 사람들이 순탄한 삶을 살아온 사람들보다 훨씬 지혜롭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는 또한 똑같은 상황에서 삶의 태도가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왔음을 알아냈다.동일한 조건에서 개방적이고 창조적인 사람들은 지혜의 빛을 발해 위대한 업적을 이룩했던 반면에,고집이 세고 괴팍한 사람들은 오히려 지혜와 신용을 잃었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 앞에는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역사 초유의 사태가 전개되고 있다.시간이 흐를수록 이로 인한 결과는 나라마다,그리고 개인마다 전혀 딴판으로 나타날 것이 자명하다.이럴 때일수록 우리 대한민국은 역경으로부터 지혜를 깨달으려는 자세와 창조적이고 도전적 삶의 태도를 견지해야 할 것이다.
필자는 2500년이라는 장구한 고난의 역사를 거뜬하게 극복하고 찬란하게 존재하는 유대인의 역사철학을 벤치마킹한 결과로,이를 진즉에 ‘무지개 원리’라고 명명해 한국판 탈무드로 설파해 왔던 터다.그렇다.어떤 혹독한 도전 앞에서도,우리가 긍정적 생각,지혜,꿈,신념,말과 습관의 힘,포기하지 않는 불굴의 정신,이 일곱 가지 원리를 꿋꿋하게 붙잡는다면,우리는 극복을 넘어 도약의 위업까지 이룰 수 있는 것이다.고대 그리스인의 자연철학에 오늘의 자연과학이,또 로마인의 법철학에 오늘의 정치·법학이 큰 빚을 지고 있다면,유대인의 역사철학에 우리는 흥망성쇠의 예지와 고난극복의 지혜를 빚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 지성인의 안목이다.까닭에 필자가 대한민국 국민들의 가슴에 불붙이고자 하는 희망은 ‘뿌리 깊은 희망’이다.
진인사대천명이라고 했다.위의 일곱 가지에 충실을 기한다면 ‘진인사’는 한 셈일 것이다.그렇다면 ‘대천명’의 자세는 어떤 것인가.1636년 병자호란 당시 구포 나만갑(萬甲)이 기록한 글에서 우리는 슬프고도 찡한 대목을 만난다.청나라 태종이 1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자 인조 임금은 남한산성으로 들어가 항전하게 된다.그때의 일이었다.기록을 보자.
“많은 비가 그칠 기미를 보이지 않고 내렸다.바람마저 매서우니 성 위의 군사들이 얼어 죽지 않을까 걱정이 됐다.전하께서 세자와 함께 밖으로 나오셔서 하늘에 비셨다.‘오늘 나라가 이 지경에 이른 것은 저희 부자의 죄가 크기 때문입니다.백성들이나 성안의 군사들에게 무슨 죄가 있겠습니까? 하늘이여! 벌을 내리시려거든 저희 두 부자에게 내려 주시고 부디 모든 백성들을 보살펴 주시옵소서.’ 이렇게 전하는 떨리는 목소리로 간절히 비셨다.신하들이 안으로 들어가실 것을 간곡히 청했지만 듣지 않으셨다.그런데 참으로 신기한 일이었다.얼마 지나자 비가 그치고 밤하늘에 은하수가 나타나는 게 아닌가! 또한 날씨도 그다지 춥지 않았다.성안의 모든 사람들은 감격에 겨워 눈물을 흘렸다.성을 지키는 수많은 군사들이 지금껏 단 한 사람도 딴마음을 품지 않은 것은 하늘이 전하의 기도를 들어주셨기 때문이다.전하의 뜻이 사람의 마음속에 이처럼 깊이 파고들 줄 누가 알았으랴?”
인조의 진실한 마음은 끝내 하늘에 통하였다.지성감천이다.시련의 때일수록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의 가르침인 것이다.
차동엽 신부·인천가톨릭대 교수
차동엽 신부·인천가톨릭대 교수
지금 우리 앞에는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역사 초유의 사태가 전개되고 있다.시간이 흐를수록 이로 인한 결과는 나라마다,그리고 개인마다 전혀 딴판으로 나타날 것이 자명하다.이럴 때일수록 우리 대한민국은 역경으로부터 지혜를 깨달으려는 자세와 창조적이고 도전적 삶의 태도를 견지해야 할 것이다.
필자는 2500년이라는 장구한 고난의 역사를 거뜬하게 극복하고 찬란하게 존재하는 유대인의 역사철학을 벤치마킹한 결과로,이를 진즉에 ‘무지개 원리’라고 명명해 한국판 탈무드로 설파해 왔던 터다.그렇다.어떤 혹독한 도전 앞에서도,우리가 긍정적 생각,지혜,꿈,신념,말과 습관의 힘,포기하지 않는 불굴의 정신,이 일곱 가지 원리를 꿋꿋하게 붙잡는다면,우리는 극복을 넘어 도약의 위업까지 이룰 수 있는 것이다.고대 그리스인의 자연철학에 오늘의 자연과학이,또 로마인의 법철학에 오늘의 정치·법학이 큰 빚을 지고 있다면,유대인의 역사철학에 우리는 흥망성쇠의 예지와 고난극복의 지혜를 빚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 지성인의 안목이다.까닭에 필자가 대한민국 국민들의 가슴에 불붙이고자 하는 희망은 ‘뿌리 깊은 희망’이다.
진인사대천명이라고 했다.위의 일곱 가지에 충실을 기한다면 ‘진인사’는 한 셈일 것이다.그렇다면 ‘대천명’의 자세는 어떤 것인가.1636년 병자호란 당시 구포 나만갑(萬甲)이 기록한 글에서 우리는 슬프고도 찡한 대목을 만난다.청나라 태종이 1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자 인조 임금은 남한산성으로 들어가 항전하게 된다.그때의 일이었다.기록을 보자.
“많은 비가 그칠 기미를 보이지 않고 내렸다.바람마저 매서우니 성 위의 군사들이 얼어 죽지 않을까 걱정이 됐다.전하께서 세자와 함께 밖으로 나오셔서 하늘에 비셨다.‘오늘 나라가 이 지경에 이른 것은 저희 부자의 죄가 크기 때문입니다.백성들이나 성안의 군사들에게 무슨 죄가 있겠습니까? 하늘이여! 벌을 내리시려거든 저희 두 부자에게 내려 주시고 부디 모든 백성들을 보살펴 주시옵소서.’ 이렇게 전하는 떨리는 목소리로 간절히 비셨다.신하들이 안으로 들어가실 것을 간곡히 청했지만 듣지 않으셨다.그런데 참으로 신기한 일이었다.얼마 지나자 비가 그치고 밤하늘에 은하수가 나타나는 게 아닌가! 또한 날씨도 그다지 춥지 않았다.성안의 모든 사람들은 감격에 겨워 눈물을 흘렸다.성을 지키는 수많은 군사들이 지금껏 단 한 사람도 딴마음을 품지 않은 것은 하늘이 전하의 기도를 들어주셨기 때문이다.전하의 뜻이 사람의 마음속에 이처럼 깊이 파고들 줄 누가 알았으랴?”
인조의 진실한 마음은 끝내 하늘에 통하였다.지성감천이다.시련의 때일수록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의 가르침인 것이다.
차동엽 신부·인천가톨릭대 교수
2008-12-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