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글로벌 디플레이션 대응 서둘러라

[사설] 글로벌 디플레이션 대응 서둘러라

입력 2008-11-22 00:00
업데이트 2008-11-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 경제가 자산가격 하락 속에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디플레이션 공포에 휩싸이고 있다. 미국의 지난 10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1.0%나 떨어지면서 사상 최대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영국과 독일, 프랑스 등 유로존도 같은 달 소비자물가가 일제히 떨어졌고 일본은 3년만에 다시 디플레이션을 우려하는 상황을 맞고 있다.‘D(Deflation)공포’의 경고등이 켜진 선진국들이 금리인하와 경기부양 등 총력전으로 공조를 강화하고 있다.

디플레이션은 경기침체 속에 물가가 폭등하는 스태그플레이션과 함께 가장 수습이 어려운 경제위기 국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물건이 팔리지 않으면서 생산이 줄고 기업실적도 나빠지면서 그 여파로 고용사정이 악화되는 등 디플레이션의 악순환 조짐이 미국 등에서 벌써 나타나고 있다. 디플레이션은 마치 깊은 늪과 같아서 한번 빠지면 쉽게 헤어나오기 어려워 선제적인 대응이 필수적이다.

우리 경제를 낙관적으로 보는 일부 전문가들은 마이너스 성장을 걱정할 정도가 아니어서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글로벌 디플레이션 공포의 영향권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인 만큼 우리도 기민한 대응을 서둘러야 할 때다. 당장 증시와 외환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 둔화가 우려되면서 내년 경제성장률이 2% 후반에 그칠 것이라는 게 정부의 전망이다. 정부는 지지부진한 기업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면서 단계적으로 경제체질개선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선진국의 금리인하에 보조를 맞춘 정책금리의 추가 인하는 물론 달러 유동성의 공급 확대도 필요한 시점이다. 실물 자산가치의 급속한 하락이 가져올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제도보완도 요구되고 있다. 배고픈 사람이 많아지는 디플레이션시대를 피해가기 위해 각 경제 주체가 위기 인식을 공유하고 눈높이를 낮춰야 할 때다.

2008-11-22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