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닥터] 환자들의 장거리 비행 안전수칙

[굿모닝 닥터] 환자들의 장거리 비행 안전수칙

입력 2008-10-25 00:00
업데이트 2008-10-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필자가 비행기 여행 중 느꼈던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갑자기 실신해 쓰러진 여성을 내가 직접 진료한 뒤 상태가 호전되었는데, 옆에서 물끄러미 바라보던 중년의 남편 왈 “소화가 잘 안 되는 것 같네요. 혹시 소화제 얻을 수 있나요?”

장거리 비행 중 갑자기 환자가 발생하면 동승한 모든 사람이 당황하기 마련이다. 원래 앓고 있었던 병이 갑자기 악화되는 환자부터 출발 전 가벼운 병을 앓다가 여행 중 악화된 환자, 병을 전혀 예측하지 못한 환자까지 사례는 매우 다양하다.

심혈관질환을 치료받고 있는 환자는 여행 전에 몇가지 사항을 명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비행기가 정상적인 운항고도를 유지하면, 기내 압력은 해발 2000m 이상에 위치했을 때와 같아진다. 산소 압력은 15~18% 감소한다.

이런 상황은 정상인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6주 이내에 심근경색증을 앓은 환자 ▲불안정성 협심증 환자 ▲증상 조절이 안 되는 심부전 환자 ▲심한 부정맥 환자 ▲심장 수술후 8~10주 이내로 흉골이나 갈비뼈가 치유되지 않은 환자는 여행을 금한다.

반대로 평지에서 100m를 단숨에 갈 수 있는 환자나 ‘관상동맥 철망시술’을 받은 뒤 3~5일이 지난 환자는 주치의와 상의 후 비행기 여행이 가능하다. 뇌졸중 환자는 치료 뒤 2~3개월까지 비행이 금지된다. 가벼운 ‘일과성 허혈 발작’(뇌졸중 전단계의 유사 증상)이 나타났다면, 10일 이후 주치의의 허락하에 비행기 여행이 가능하다.‘인공심장박동기’나 ‘금속형 인공판막수술’을 받은 환자는 공항 내 금속 탐지기를 통과할 때 기계 작동에는 문제가 없지만, 편리를 위해 보안담당자에게 사전에 시술확인증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장병 환자가 비행기 여행을 할 때는 가장 먼저 주치의와 여행 가능성에 대해 심도있게 상의해야 한다. 그리고 심전도 검사 결과와 그 동안의 치료 과정이나 상태를 기록한 진단서 및 의사 소견서 등을 휴대하는 것이 좋다. 비행기 좌석은 다리를 여유있게 펼 수 있고 쉽게 일어날 수 있는 복도옆 좌석을 예약한다. 또 매 30분마다 다리를 펴고 일어나 움직여야 한다.

비행 전이나 비행 중 술은 마시지 말고 물을 자주 마셔 탈수를 방지한다. 무거운 짐을 갖고 다니지 말고, 몸에 여유가 있는 옷을 입는 것도 주의해야 할 사항이다. 평소에 복용하는 약뿐만 아니라 응급약은 반드시 휴대가방에 보관한다. 산소가 필요하면 사전에 항공사에 연락해 산소공급을 받도록 준비한다.

마지막으로 치명적인 ‘폐색전증’(폐 혈관이 막힌 상태)을 예방하기 위해 50세 이상이거나 심부정맥에 혈전 위험성이 있는 환자는 8시간 이상 또는 5000㎞ 이상의 장거리 비행기 여행시 가능하면 무릎 아래까지 오는 탄력 양말을 착용해야 한다. 여행 전 철저한 준비는 안전한 여행을 보장한다. 유비무환!

백상홍 강남성모병원 교수
2008-10-25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