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부럽다. 열흘전 두 사람의 일본인 학자가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다음날 화학상에도 일본인이 선정됐다. 한 사람의 수상자만 나와도 법석을 떨 일인데 한꺼번에 3명이 배출됐으니 “대단하다.”는 감탄이 저절로 나왔다.
일본 국민들도 놀랐다. 그리고 열광했다. 수상자들조차 “의외”라며 기뻐했을 정도니 연거푸 수상자를 낸 입장에서야 당연하다.‘쾌거’,‘저력’이라는 표현도 아끼지 않았다. 요즘 서점가에서 기초과학 서적이 한창 인기다.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는 1949년 이래 모두 15명이다. 국적 논란 때문에 뺀 물리학상의 난부 요시히로 시카고대 명예교수까지 따지면 16명이다.2001년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공표한 ‘50년 안에 노벨상 수상자 30명 배출’ 목표에 절반의 성공을 거둔 셈이다.
일본은 과학에 대한 투자 및 배려, 관심이 적잖다. 아니 엄청나 과학기술요람에 따르면 2006년 기준, 전체 연구·개발비는 대략 18조 4000억엔에 이른다. 미국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액수라지만, 일본돈으로 환산한 한국의 3조 3300억엔에 비해 무려 6배나 된다.
투자액 못지않게 접근법도 대담하다. 정부는 상식적인 잣대로 성공 확률이 낮은 연구프로젝트도 선정,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가능성을 확신할 수 없는 연구라도, 그에 따른 성과 및 파장을 고려한 장기적인 투자다. 무모하다기보다는 말 그대로 도전이다. 일본 최대·최고의 이화학연구소나 산업기술종합연구소도 ‘가능성 제로’의 연구도 손을 놓지 않고 있다.
지난해 5월 아키히토 일왕이 스웨덴 등 유럽 5개국을 방문했을 때 전직 총리와 외상 출신이 수행하는 관행을 깨고 노벨화학상을 탄 노요리 료지 이화학연구소 이사장을 수석수행원으로 동행했다. 스웨덴의 노벨위원회의 존재를 감안한 듯한 행보 같지만 일본의 과학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기에 충분했다.
노벨상 낭보 속에 고민도 없지 않다. 미래 과학의 힘, 즉 후진 육성에 대해서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의 연령은 평균 74.6세다. 연구 업적을 이뤘을 당시 연령은 모두 30세 안팎에 불과했다. 그리고 수상까지 35∼46년이나 걸렸다.‘종이와 연필의 과학’이라는 열악한 연구 환경의 세대다. 정열과 집념없이는 불가능했다고 할 수밖에 없다.
아소 다로 총리는 마스카와 도시히데(올해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자)에게 축하전화를 하면서 “젊은이들에게 한마디”를 부탁했다. 마스카와는 “과학에 꿈을 갖고, 동경하며 공부하는 게 중요하다.”고 답했다. 노벨상 수상자들은 한결같이 젊은이들이 과학에 흥미를 갖기를 희망했다. 정부도, 학자도 요즘 일본의 ‘이공계 기피현상’을 염려해서다. 고바야시는 “인간은 본래 호기심이 많다. 여기에 호응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 현행 대학입시는 문제가 있다. 자연을 이해하려면 완성된 법칙을 아는 것만으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일본은 과학을 부흥시키기 위한 반성과 함께 점검에 나섰다.‘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보이지 않는 풍토의 폐해, 과학기술정책이 경제에 편중돼 기초과학보다 응용과학에 집중된 현실 등도 되돌아보고 있다. 연구 체제를 근본적으로 정비, 두뇌의 해외 유출을 막자는 목소리도 한층 높아졌다.
노벨상 풍작을 거두고도 미래를 걱정하는 일본의 모습이다. 한국 쪽에서 보면 ‘행복한 고민’이다. 부러워만 할 수는 없다. 똑같이 고민하고 되짚어 봐야 할 사안들이다. 뛰어난 과학적 역량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단기적 성과 위주의 연구에 내몰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실질적인 기초연구는 소홀히 할 수밖에 없다. 독창적인 자기만의 연구를 꾸준히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과 함께 과학기술 정책의 일관성도 담보돼야 한다.
박홍기 도쿄 특파원 hkpark@seoul.co.kr
박홍기 도쿄 특파원
일본 국민들도 놀랐다. 그리고 열광했다. 수상자들조차 “의외”라며 기뻐했을 정도니 연거푸 수상자를 낸 입장에서야 당연하다.‘쾌거’,‘저력’이라는 표현도 아끼지 않았다. 요즘 서점가에서 기초과학 서적이 한창 인기다.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는 1949년 이래 모두 15명이다. 국적 논란 때문에 뺀 물리학상의 난부 요시히로 시카고대 명예교수까지 따지면 16명이다.2001년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공표한 ‘50년 안에 노벨상 수상자 30명 배출’ 목표에 절반의 성공을 거둔 셈이다.
일본은 과학에 대한 투자 및 배려, 관심이 적잖다. 아니 엄청나 과학기술요람에 따르면 2006년 기준, 전체 연구·개발비는 대략 18조 4000억엔에 이른다. 미국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액수라지만, 일본돈으로 환산한 한국의 3조 3300억엔에 비해 무려 6배나 된다.
투자액 못지않게 접근법도 대담하다. 정부는 상식적인 잣대로 성공 확률이 낮은 연구프로젝트도 선정,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가능성을 확신할 수 없는 연구라도, 그에 따른 성과 및 파장을 고려한 장기적인 투자다. 무모하다기보다는 말 그대로 도전이다. 일본 최대·최고의 이화학연구소나 산업기술종합연구소도 ‘가능성 제로’의 연구도 손을 놓지 않고 있다.
지난해 5월 아키히토 일왕이 스웨덴 등 유럽 5개국을 방문했을 때 전직 총리와 외상 출신이 수행하는 관행을 깨고 노벨화학상을 탄 노요리 료지 이화학연구소 이사장을 수석수행원으로 동행했다. 스웨덴의 노벨위원회의 존재를 감안한 듯한 행보 같지만 일본의 과학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기에 충분했다.
노벨상 낭보 속에 고민도 없지 않다. 미래 과학의 힘, 즉 후진 육성에 대해서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의 연령은 평균 74.6세다. 연구 업적을 이뤘을 당시 연령은 모두 30세 안팎에 불과했다. 그리고 수상까지 35∼46년이나 걸렸다.‘종이와 연필의 과학’이라는 열악한 연구 환경의 세대다. 정열과 집념없이는 불가능했다고 할 수밖에 없다.
아소 다로 총리는 마스카와 도시히데(올해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자)에게 축하전화를 하면서 “젊은이들에게 한마디”를 부탁했다. 마스카와는 “과학에 꿈을 갖고, 동경하며 공부하는 게 중요하다.”고 답했다. 노벨상 수상자들은 한결같이 젊은이들이 과학에 흥미를 갖기를 희망했다. 정부도, 학자도 요즘 일본의 ‘이공계 기피현상’을 염려해서다. 고바야시는 “인간은 본래 호기심이 많다. 여기에 호응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 현행 대학입시는 문제가 있다. 자연을 이해하려면 완성된 법칙을 아는 것만으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일본은 과학을 부흥시키기 위한 반성과 함께 점검에 나섰다.‘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보이지 않는 풍토의 폐해, 과학기술정책이 경제에 편중돼 기초과학보다 응용과학에 집중된 현실 등도 되돌아보고 있다. 연구 체제를 근본적으로 정비, 두뇌의 해외 유출을 막자는 목소리도 한층 높아졌다.
노벨상 풍작을 거두고도 미래를 걱정하는 일본의 모습이다. 한국 쪽에서 보면 ‘행복한 고민’이다. 부러워만 할 수는 없다. 똑같이 고민하고 되짚어 봐야 할 사안들이다. 뛰어난 과학적 역량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단기적 성과 위주의 연구에 내몰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실질적인 기초연구는 소홀히 할 수밖에 없다. 독창적인 자기만의 연구를 꾸준히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과 함께 과학기술 정책의 일관성도 담보돼야 한다.
박홍기 도쿄 특파원 hkpark@seoul.co.kr
2008-10-1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