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부터 서울 강남지역 초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이 실시된다고 한다. 서울강남교육청은 아침자습 및 국어과목 시간을 활용하거나 방과후 과제로 제시하는 등 학교별 상황에 맞게 최소 900자 정도의 기초한자를 익히도록 할 계획이다. 성취동기 부여를 위해 한자교육 관련내용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는 것은 물론 한자검증시험을 치르게 하거나 한자경시대회를 개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국어능력 향상책의 하나로 꾸준히 제기돼온 한자교육의 필요성이 비로소 받아들여진 것이다.
초등학교 한자교육은 1970년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강력한 한글전용정책에 따라 금지됐다가 1990년대 중반 학교에 재량권이 주어졌다. 그러나 대부분 초등학교에서는 한글전용정책이 유지돼 왔다. 기껏 중·고교에서 기초한자를 배우고 있지만 대학입시에 반영되지 않다 보니 형식적인 교육이 이뤄질 뿐이다. 그러다 보니 서울대생 60% 이상이 한자어 기초실력평가에서 낙제점을 받거나,4년제 대학졸업생 10명 중 6∼7명이 부모 이름을 한자로 쓰지 못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 말은 70%가 한자 조합으로 이뤄져 있다. 이런 상태에서 한자를 몰라 생기는 ‘불통’의 문제가 심각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영어몰입교육 등 영어교육이 강화되고 있는 마당에 한자교육은 또 다른 사교육을 유발시켜 학생과 학부모에게 이중부담을 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반론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한자 조기교육은 필요하지만 사교육 유발은 그 누구도 원치 않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한자교육은 1970년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강력한 한글전용정책에 따라 금지됐다가 1990년대 중반 학교에 재량권이 주어졌다. 그러나 대부분 초등학교에서는 한글전용정책이 유지돼 왔다. 기껏 중·고교에서 기초한자를 배우고 있지만 대학입시에 반영되지 않다 보니 형식적인 교육이 이뤄질 뿐이다. 그러다 보니 서울대생 60% 이상이 한자어 기초실력평가에서 낙제점을 받거나,4년제 대학졸업생 10명 중 6∼7명이 부모 이름을 한자로 쓰지 못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 말은 70%가 한자 조합으로 이뤄져 있다. 이런 상태에서 한자를 몰라 생기는 ‘불통’의 문제가 심각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영어몰입교육 등 영어교육이 강화되고 있는 마당에 한자교육은 또 다른 사교육을 유발시켜 학생과 학부모에게 이중부담을 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반론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한자 조기교육은 필요하지만 사교육 유발은 그 누구도 원치 않기 때문이다.
2008-09-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