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환율 비상] 환율방어‘실탄’ 200억~300억弗로 줄어

[치솟는 환율 비상] 환율방어‘실탄’ 200억~300억弗로 줄어

문소영 기자
입력 2008-08-28 00:00
업데이트 2008-08-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달러 환율이 연일 오르면서 외환보유액 활용에 대한 찬반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외환보유액 매각은 한강에 돌던지기”라고 비판하며 “국가신용을 지키기 위해 현재의 외환보유액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총재는 “국제금융시장이 어려워지면 외환보유액은 급격히 움직일(줄어들) 수 있으며 한번 무너지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다만 경제전문가들은 “외환보유고가 2600억달러까지 늘어난 것은 최근 2∼3년 동안 조선업체·플랜트산업계가 미리 외환시장에 달러를 팔아놓은 것(선물환 매도)을 받아줬기 때문”이라면서 “미리 팔아놨기 때문에 생긴 달러 공급의 공백을 한국은행 등에서 메워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지난달 7일 한국은행이 기획재정부와 함께 환율시장 개입을 선언할 때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한은이 지난 2∼3년간 원·달러 환율 하락을 막기 위해 시장에서 사들인 달러 규모는 580억달러에 이른다. 즉, 환율상승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580억달러는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올해들어 이미 약 200억달러 이상 시장에서 달러 매도 개입을 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현재 개입할 수 있는 ‘실탄’은 200억∼300억달러 수준으로 줄어든 상황이다.

JP모건 임지원 수석애널리스트는 “한국은행이 10월 국정감사를 앞두고 외환보유액이 줄어들고 있다고 여론몰이에서 밀리는 것이 아닌가 싶다.”면서 “그러나 현재 외환보유액은 충분한 수준인 만큼 환율상승의 속도조절에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7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2475억달러로 최고수준이었던 3월 2642억달러에 비해 약 167억달러가 감소한 상황이다.8월 말에 발표될 외환보유액은 달러 강세로 인해 유로화 표시 자산의 감소와 외환시장 개입 등으로 외환보유액이 더 많이 줄어들 수도 있다. 이진우 NH선물 실장은 “9월 위기설의 핵심이 외환유동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인 만큼 시장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서는 외환시장 개입보다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자세가 더 중요해보인다.”고 지적하고 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08-08-28 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