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0일 대회의실에서 파리국립장식미술학교(ENSAD)와 상호 교류 및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2010 세계 디자인수도(WDC)사업’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포럼을 열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파리국립장식미술학교는 지속적으로 서울의 디자인을 연구하고, 서울시는 이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등 상호 교류협력을 통해 세계적인 디자인 도시로 발전을 꾀하기로 했다.
파리국립장식미술학교는 루이 15세 때인 1767년 설립된 세계적인 전통과 권위를 가진 응용·장식미술분야 학교다. 실내장식과 산업디자인, 시각커뮤니케이션, 조형예술, 애니메이션·비디오 학과 등이 개설된 4년제 대학이지만 대부분의 학생이 다른 학교에서 2년 정도 기초 교육을 받은 뒤 입학하고 평균 입학경쟁률이 100대1에 달할 정도로 높은 수준을 자랑한다. 특히 패트릭 르노 디자인학과 교수팀은 서울이 2010년 세계디자인수도로 선정된 점을 주목, 지난 학기부터 ‘서울의 디자인’이라는 강의를 개설했다. 학생 10명이 팀을 이뤄 서울을 테마로 한 멀티미디어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16일까지 시청사 로비에서 파리국립장식미술학교 학생들이 첨단기술을 사용해 한국의 서정적인 분위기를 담아낸 연구과제 ‘서울 프로젝트’ 작품을 전시한다. 양측은 이어 2010 WDC 사업의 기반 구축을 위한 포럼을 열었다. 포럼에는 패트릭 레이노 총장과 교수진, 필립 티에보 주한프랑스대사, 장동련 국제그래픽디자인협의회 회장과 국내외 디자인계 인사, 서울시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환영사를 통해 “파리국립장식미술학교가 서울을 주목한 것은 그동안 서울이 디자인을 통한 새로운 도약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는 일련의 노력이 통한 것”이라며 “2010년은 서울이 세계적인 디자인 도시로서 거듭나는 모습을 전 세계에 보이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