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가 한국전쟁의 상처 덧냈다

교과서가 한국전쟁의 상처 덧냈다

정서린 기자
입력 2008-06-26 00:00
수정 2008-06-2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친일경력 세탁·반공 이데올로기 터 닦기에 충실- 한성대 김동환 교수 분석

‘국어교과서가 한국전쟁의 상처를 더 덧냈다.’

한성대 한국어문학부 김동환 교수가 ‘한국전쟁, 국어교육, 국어교과서’라는 논문에서 제기한 혐의(?)다. 그의 글은 한성대 사회과학연구소 부설 전쟁과평화연구소 연구진이 펴낸 책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도서출판 선인)에 실렸다. 김 교수는 1955년 시작된 1차교육과정기부터 2001년 시작된 7차교육과정기까지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한국전쟁 관련 작품들을 구체적인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김 교수에 따르면 이른바 ‘교과서 작품’들은 전쟁을 ‘사화(私化)’하거나 ‘특정 집단의 이야기화’할 가능성이 크다. 그 예로, 이은상의 기행수필 ‘피어린 육백리’나 유치진의 희곡 ‘청춘은 조국과 더불어’에는 민족 현실로서의 한국전쟁은 보이지 않고 추상화되고 파편화된 전쟁의 단면만이 개인의 목소리를 통해 드러날 뿐이다.

대표적 친일문인인 유치진은 이 교과서 작품을 계기로 연극계의 주도권을 잡는 아이러니까지 연출한다.“한국전쟁기의 교육 및 교과서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급조된 것으로 ‘친일 경력의 세탁’이나 ‘반공 이데올로기의 터 닦기’역에 충실했다.”는 게 김 교수의 주장이다.

여기에는 군정기부터 이어져온 ‘국정(國定)교과서’의 ‘정권의 교과서 관여 방식’이 크게 작용했다. 인적 구성이 그러하다. 단독정부기의 교과서 필진에는 친일인사가 대거 참여했다. 김동인 모윤숙 이무영 노천명 이헌구 서정주 등이 그들이다. 이들은 교과서 내용에 즉각 영향을 미쳤다.

김 교수는 실제로 단독정부기 교과서에서는 친일문제가 희석되고 학교와 교과서가 본격적으로 반공의 보루가 됐다고 비판한다. 당시 문교부장관이었던 안호상의 글이 네 편이나 교과서에 실린 게 그 예.‘일’‘학생과 사상’‘일과 행복’‘삶의 목적’ 등의 글은 모두 이승만을 중심으로 일치단결할 것을 주창한다. 김 교수는 “공산주의가 이념 그 자체로 논의나 부정의 대상이 된 게 아니라 통치를 위한 적대 이념’으로 군림했다.”고 지적한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08-06-26 22면
많이 본 뉴스
AI교과서 도입, 당신의 생각은?
정부가 내년부터 초중고교 일부 학년에 도입하는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와 관련해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AI 디지털교과서가 학생들의 취약점을 분석해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게 해준다는 긍정적인 의견이 있는가 하면, 디지털 기기 노출 시간이 늘어나는 부작용이 크고 학습 부진 학생에 대한 교육효과가 높지 않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