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쇠고기 협상 타결과 광우병 논란, 국제 곡물가격 급등으로 인한 사료값 상승 등으로 축산 농가의 어려움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쇠고기 유통구조는 여전히 낙후된 것으로 드러났다. 농수산물유통공사(aT)의 ‘2007년 쇠고기 유통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쇠고기 값의 40%가량은 중간 유통 비용과 마진이라고 한다. 특히 소매 단계인 정육점에서 추가되는 비용과 이윤이 전체 가격의 33%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통구조 개선을 촉구하지 않을 수 없다.
농축산물 유통구조 개선 지적은 이미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우루과이 라운드(UR) 협상 등을 통해 시장 개방이 확대되면서 가격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주요한 과제의 하나였다. 지난 4월 등심과 갈비 평균 가격은 한우가 호주산에 비해 1.6∼1.9배 비쌌다. 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소비자 조사 결과 소 갈비에 대한 ‘지불의향 금액’은 한우가 미국산의 2.1배로 나왔다. 한우가 수입 쇠고기에 비해 값이 너무 비싸다는 인식이 여전히 널리 퍼져 있음을 보여 준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앞두고 시름에 젖어 있는 축산 농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질 좋고 값싼’ 한우라는 인식을 하루 빨리 심어 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처럼 왜곡된 유통구조부터 개선해야 할 것이다. 복잡한 유통 단계와 마진을 줄여 소비자에게 싼 값에 한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 전문가들은 축산 농가를 조직화해 생산-가공-유통을 통합하는 등 유통 체계의 효율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아울러 원산지 표시제와 생산 이력제 등을 통해 수입산이 국산으로 둔갑하는 일이 없도록 감시·감독을 철저히 하는 노력도 게을리해선 안된다.
2008-05-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