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생태와 평화의 연결고리는?

환경·생태와 평화의 연결고리는?

정서린 기자
입력 2008-05-15 00:00
수정 2008-05-1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매년 개최하는 ‘문명과 평화 국제포럼’의 2008년 주제는 ‘환경과 생태와의 평화’다.27일부터 29일까지 경기 성남시 한중연 대강당에서 열린다. 번영을 향해 달리는 인류 문명은 필연적으로 환경 훼손을 동반했다. 자원고갈은 생태계 파괴를 낳았고, 국가간 자원확보 전쟁은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 각 나라마다 환경영향평가를 강화하고 각종 환경관계법을 제정하고 있지만, 지구 곳곳에선 예기치 못한 재해들이 전 세계를 위협하고 있다.‘문명과 평화포럼’이 환경과 생태 문제를 중심으로 이 시대 문명의 방향과 평화의 가능성을 탐구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미지 확대
주제 포럼은 세 개 분과로 구성됐다. 그동안 인간의 입장에서 생존권을 중심으로 논의돼온 환경문제를 자연과 생태계의 입장에서 풀어 보고자 하는 ‘환경과 동양생태학’, 파괴된 생태계를 어떻게 되살릴 것인지를 고민하는 ‘환경과 생태계 보전 및 복원’, 환경파괴 없는 삶과 번영을 강구하는 ‘21세기의 환경과 생태’ 등이 마련됐다. 박이문 미국 시몬스대 명예교수와 ‘오래된 미래’의 저자로 잘 알려진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조지 존슨 미국 워싱턴대 생물학과 명예교수가 각 분과의 발제를 맡았다. 박 교수는 환경·생태계 전반의 근본적 위기 근저엔 반생태계적인 인간중심 형이상학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현대 서구의 과학기술과 아시아의 친환경적인 전통철학의 통합이라고 강조한다.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생태와 문화를 위한 국제협회’ 대표는 “글로벌 경제는 우격다짐으로 지구촌을 단일 문화권으로 묶어 풍부하고 찬란한 저마다의 건강한 공동체, 고유의 언어와 지식을 사장시킨다.”면서 “이 매듭을 풀 수 있는 첫 번째 실천은 바로 음식과 농사를 살펴 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토론자로 나서는 류타로 오쓰카 일본 국립 환경연구소장은 솔로몬 군도와 중국의 비교 연구를 통해 농촌 발전 프로젝트에서 공동체 복지와 환경 보전 문제를 모색하고, 원병오 경희대 명예교수는 한국의 자연적 에코시스템과 철새 도래지 복원 계획을 제시한다.

올 문명과 평화포럼은 기조강연자 선정에 애를 먹었다. 당초 섭외했던 라젠드라 파차우리 유엔정부간기후변화협의체(IPCC) 의장이 최근 갑작스레 불참을 통보하면서, 한중연은 기조 강연자를 1985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사회적 책임을 위한 의사들의 모임(PSR)’ 전 대표 로버트 굴드와 홀리스틱 평화연구소 대표 게리 스페노비치로 바꿔야 했다.

포럼 출발 때부터 이어져온 ‘9·11 이후 문명간의 대화’(27일),‘동아시아에서의 진실과 화해’(29일),‘아시아 전통과 새로운 인문정신’(29일) 분과 또한 마련된다. 김우창 고려대 명예교수, 문정인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홍구 성공회대 교양학부 교수 등이 분과별 발표자와 토론자로 참여한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08-05-1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