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드라
헤라클레스와 히드라. 불패의 영웅과 머리가 수도 없이 달린 물뱀 괴물. 그리스신화에서 헤라클레스는 히드라를 죽이고 불멸을 획득했지만, 헤라클레스에게 죽임을 당한 히드라는 처참한 패배자로 잊혀졌다.세계 역사는 헤라클레스의 역사였다. 헤라클레스는 권력을 상징했다. 그리스인들에게는 중앙집중화된 국가의 통합자, 로마인들에겐 제국적 야망의 실현자였다. 서구 권력자들은 헤라클레스의 모습을 화폐와 옥쇄, 각종 조각, 궁전에 새겨 넣었고, 자신들을 헤라클레스의 재현이라고 선전했다. 영국의 철학자이자 정치가인 프랜시스 베이컨도 진보의 상징으로 헤라클레스를 인용했다. 승리자 헤라클레스는 언제나 역사의 주인공이다.
‘히드라’(피터 라인보·마커스 레디커 지음, 정남영·손지태 옮김, 갈무리 펴냄)가 역사를 바라 보는 관점은 정반대다. 저자들은 ‘밑으로부터의 역사서술’을 지향한다. 패배자로 낙인찍혀 역사의 비가시권으로 사라진 이들에게 초점을 맞춘다. 대영제국의 일상을 지탱한 장작 패고 물 긷는 사람들, 억압을 견디다 못해 반란을 일으킨 흑인 하녀와 노예들, 미국 독립운동의 주역이면서도 역사 뒤편으로 밀려난 잡색부대(다민족 노동자집단), 혁명적인 해적 선장, 아프리카·아일랜드·자메이카·니카라과 등지에서 발생한 반역들…. 책은 자본주의 경제발전의 머리이자 아이콘으로 군림해온 헤라클레스에 맞서 싸운, 자본주의 경제발전의 손발 히드라들의 역사를 복원한다.
신화 속 괴물 히드라는 현실에서 무질서와 위협을 상징했다. 세계적 규모의 제국건설을 위해 히드라들을 활용하면서도 그들 안에 내재된 폭발적 저항성을 두려워한 헤라클레스 추종자들은 히드라에게 파괴의 이미지를 덧입혔다.
하나의 목이 잘리면 그 자리에 두 개의 목이 새로 자라나는 히드라처럼, 거듭 실패하면서도 다시 일어나는 ‘다중(多衆)’의 생명력을 저자들은 강조한다. 방대한 자료를 통해 저자들이 재구성하고자 한 것은 다민족계층의 잊힌 역사, 그중에서도 헤라클레스가 거세한 히드라의 진면목인 다수성과 운동성, 자유와 평등을 향한 강렬한 저항정신이다.3만원.
이문영기자 2moon0@seoul.co.kr
2008-05-0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